서문
우리의 기준에 따라 질적으로 낮은 페이지는 삭제 조치합니다. 이러한 삭제는 대부분 평가를 통해 커뮤니티에서 결정하고 사이트 운영진들이 실행합니다. 사이트 방침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된 작품에 대해서는 예외가 있습니다. 다음은 표준 삭제 방침과 특별한 경우의 삭제 방침, 기타 관련 정보에 대한 짤막한 설명입니다. 삭제 시에는 어떤 이유이던 항상 삭제 공지 포럼에 정확한 이유를 공지하고 삭제됩니다.
유예 기간
삭제 대상이 된 페이지는 최초 게시 후 24시간의 유예 기간이 부여됩니다. 설령 추천수가 -1 이하로 떨어지더라도 이 기간에는 삭제를 위한 투표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만약 추천수가 -10 이하로 떨어진다면 유예 기간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표준 절차
매주 수요일, 삭제 절차 담당자1(현재 담당자는 igangsu,
ProfoundAbyss,
CatSi입니다)는 평점이 -1 이하이고 최초 게시 후 24시간의 유예 기간이 지난 페이지에 해당하는 문서에 대한 삭제 표결을 엽니다.
해당 삭제 표결은 삭제투표 스레드에서 열리며, 삭제투표 대상인 문서의 최상단에는 다음 양식을 기입해 부착합니다.
[[include :scpko:component:deletion
|url=(해당 삭제투표 포스트 링크)
]]
운영진은 찬성, 반대, 기권 중 하나의 의견을 표할 수 있습니다.
만약
1. 투표 개시자를 포함해 3인 이상의 운영진이 투표를 하였음
2. 투표 시작 후 24시간이 지남
이 두 조건이 만족된다면 투표는 마감이 되고, 다수결에 따라 해당 페이지의 삭제 여부가 결정됩니다. 3인 이상의 운영진이 삭제에 동의하였을 경우, 최소 24시간 후 삭제 스태프에 의해 페이지가 삭제됩니다.
수요일이 되지 않았거나, 최초 게시 후 24시간이 지나지 않았더라도 평점이 -10 이하로 내려간 페이지는 운영진 투표를 거쳐 삭제됩니다.
삭제된 페이지에 대한 링크
SCP-KO 목록 페이지 등 허브 역할을 하는 페이지에 등록된 삭제 대상의 경우 삭제가 완료된 후에 해당 페이지에 걸린 링크 역시 삭제됩니다. (창작물 한정)
번역물의 경우, 저작권 페이지에 걸린 링크만 삭제합니다.
공동 작업 삭제 절차
한국어 변칙 개체 기록과 같이 복수의 작성자들이 각각 다른 항목에 기여한 페이지의 경우, 해당 페이지 포럼 란에 삭제 건의가 올라온 항목만을 대상으로 표준 삭제 절차가 진행됩니다.
위키 회원이라면 누구든지 삭제 건의가 가능합니다.
삭제 투표에서 살아남은 문서
삭제 투표가 진행되었지만, 투표 결과에 따라 삭제되지 않은 문서의 평점이 마이너스를 계속 유지한다면, 최소 두 주(14일)가 지난 후의 수요일에 삭제 투표를 재개합니다.
만약 두번째 삭제 투표에도 삭제되지 않았다면, 평점이 -10 이하를 기록하지 않는 이상 삭제 투표를 개시하지 않습니다.
삭제 투표에서 살아남은 공동 작업 항목의 경우, 이전 발의자와 다른 회원에 의해 삭제 건의가 다시 발의되지 않는 이상 해당 항목에 대한 삭제 투표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바꿔서 말하면, 전에 해당 항목에 대한 삭제 건의를 제기했던 회원의 재건의는 무효합니다.
표절과 특허 도용
페이지를 이 위키 사이트 혹은 다른 곳에서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복사해오거나, 아니면 개념상으로 다른 곳에서 많이 차용하는 경우 그 페이지는 표절과 특허 도용으로 인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운영진이 표절/특허 도용에 대한 삭제를 권유하고, 해당되는 페이지가 어떻게 위반했는지 알려줄 겁니다. 이 절차는 표준 삭제 절차와 동일합니다. 사본이 기록 보관의 목적으로 보관될 수 있습니다.
유예 기간 없이 삭제되는 이유
- 작성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게시물. 일반적인 페이지와 달리 작가 페이지와 아트워크 페이지 등은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개설할 수 있습니다.(예: 작가 페이지는 3개 이상의 SCP나 이야기를 작성해야 개설이 가능합니다.) 이런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게시물은 즉시 삭제됩니다.
- 트롤링. 만약 운영진이 어떤 페이지가 트롤링의 목적으로 게시되었다고 판단하면, 즉시 삭제 투표를 진행하게 됩니다. 트롤 페이지 삭제 투표는 기본적으로 표준 절차와 같지만, 현재 페이지의 추천 수와 상관없이 진행되며, 유예 기간은 없습니다. 사본이 기록 보관의 목적으로 보관될 수 있습니다.
- 현재 SCP 넘버링 외의 숫자가 매겨진 SCP 작품2. 페이지 작가는 작품의 넘버링을 수정한 뒤 다시 게시할 수가 있습니다.
- 바이러스가 첨부된 링크를 걸거나, 음란물, 스팸, 상업 광고, 불법 콘텐츠 등의 악의적인 내용이 들어가 있으면 페이지는 즉시 삭제됩니다. 사본이 기록 보관의 목적으로 보관될 수 있습니다.
- 완성이 되지 않은 게시물
- 추천수를 초기화하고자 수정없이 게시글을 다시 올리는 행위
기타 관련 정보
작성자 요청
계정 비밀번호를 잊어버렸거나, 글을 게시한 계정을 탈퇴시켜 자기 글 삭제가 불가능한 경우, 자신이 작성자임을 입증하기만 하면 삭제 요청이 받아들여집니다.
자기 글 삭제
작성자는 언제든지 자신의 글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페이지 하단의 "+ 설정"을 클릭하시고
2. "삭제"를 누른 다음
3. "완전히 삭제"에 체크한 뒤 삭제 버튼을 누르세요.
"완전히 삭제"에 체크하지 않으면 페이지 삭제가 되지 않고 그냥 제목만 바뀝니다. 자기 글 삭제는 다른 삭제와 마찬가지로 삭제 공지 포럼에 알려야 합니다.
작성자가 자신의 글을 삭제 하려는데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와 수정 및 제목 변경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운영진이 완전히 삭제 시켜드립니다. 운영진에 의한 부당한 삭제가 이루어졌다면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삭제된 계정의 추천
삭제된 계정의 모든 추천은 무효로 처리합니다. 만약 어떤 페이지가 비추천을 받아 -1이 되었는데 삭제된 계정에 의한 비추천이 2개 있을 경우에는 +1로 간주하여 삭제 대상으로 보지 않습니다. 비슷하게 +1의 추천 수를 받은 페이지에서 두명의 삭제 계정이 2개의 추천을 주었다고 하면 무효가 되어 삭제 대상으로 봅니다.
보존 페이지
-ARC는 삭제하는 대신 전면적으로 보존된 페이지를 말합니다. 보존 페이지는 뒤에 -ARC를 붙입니다. 삭제하지 않고 보관하는 것에 대해서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삭제 대상인 SCP가 오래되었거나 이를 소재를 한 이야기가 여럿 있어 삭제를 감행할 경우 혼란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페이지를 보관하는 절차는 삭제 절차와 동일합니다. -ARC 제안은 기본적으로 삭제 투표가 진행되고나서 이루어지고, 페이지를 완전히 삭제하는 대신 페이지 주소 뒤에 -ARC를 붙이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DEL은 원본이 삭제된 번역본을 보존하는 페이지를 말합니다. 보존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첫째로 원 사이트와 이 사이트의 어느 글에 대한 평가가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이고, 둘째로 번역본 자체를 또 하나의 보존가치가 있는 글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원문이 삭제된 번역본은 기본적으로 "삭제 SCP"로 옮겨집니다. 이후 해당 번역본을 보존할 가치가 없다고 여기는 유저는 삭제 토론을 개시할 수 있습니다. 삭제 토론을 개시하기 위해선 번역자가 직접 토론에 참여하거나 번역자의 삭제 동의가 확인되어야 합니다.
이 페이지를 함부로 수정해도 되는지 몰라서 일단 여기에다 적을게요.
SCP-KR을 SCP-KO로 고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함부로야 수정하면 안 되지만, 그런 건 해도 된다고 쓰려다가 글을 봤는데, kr이 본문에 어디 있죠?
SCP-KR이라고 하나 있네요.
으앙 Ctrl+F가 배신했… 일단 그냥 고쳤습니다. 명백한 거니까요.
내용이 일부분 추가되었습니다……
삭제 절차
한위키 절차에 맞게 점수를 -10에서 0으로 수정하는 건 어떨까요.
이 부분은 토론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절차상 그게 맞는 거니까요.. 하지만 반영하기 전에, -10을 찍었을때 운영진 투표로 삭제 절차가 이루어진다는 점도 있으니 그 부분도 같이 넣는게 어떨까요?
수요일이 아니더라도 -10 작품은 운영진 투표로 삭제하는 건가요? 한번도 벌어진 적 없는 일이라 그런 규정인 줄 아예 몰랐네요;; 그럼 그거까지 반영해서 한위키 규정으로 수정하겠습니다.
꽤 자주 벌어졌던 일입니다, 사실. 왜냐하면 첫 SCP/이야기들이 보통 그정도로 비추천을 받고 투표를 통해 삭제되거든요.
한위키 절차로 수정했습니다.
현재 트롤링으로 인한 삭제투표를 제외한 삭제 절차의 진행 기간이 명시되어있지 않는데, 명시된 삭제 절차 마감 조건도 모호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jso9923님의 동의가 있어야겠죠.
저는 영문위키의 삭제절차 페이지에 명시된 것처럼,
1. 투표 개시자를 포함해 3인 이상의 운영진의 투표
2. 투표 개시후 24시간이 지남
이 두 조건이 만족된다면 바로 마감이 되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이에 더불어, 현재 페이지의 재작성 또한 논의하고 싶습니다.
사유는 가독성과 정확한 정보의 부족입니다.
만약 재작성이 현실화 된다면 제가 재작성 과정을 담당 할 의향이 있습니다.
물론 현재 삭제 투표 담당자인
재작성이 현실화된다는 하에 네탈시포님이 재작성하시는 것은 것에 동의합니다.
덧붙여서 1번 항목에 헷갈리지 않도록 '투표 개시자를 포함한'이라는 문구가 있었으면 합니다.
반영하였읍니다
http://sandbox.scp-wiki.kr/new-deletions-guide
몇가지 개정을 한 삭제절차 초안입니다
이 페이지를 해당 초안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합니다
추가: 공동 작업 삭제 절차 관련 항목을 추가하였습니다.
1. 2. 항 중 하나만 만족해도 삭제 투표가 종료되는 건지, 아니면 둘 다 만족해야 종료되는 건지 명시적으로 언급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근데 그거 말고 다른 바뀐 점이 있나요?
1. 2.항 모두 만족해야 된다는 것을 명시하였습니다.
주요한 변경점은
표준 절차의 개정, -10이하에 대한 유예기한 제외
공지 사항에 삭제 내역을 올리지 않고 삭제되는 이유를 유예 기간 없이 삭제되는 이유에 통합
유예 기간 없이 삭제되는 이유에 몇가지 항목 추가
자기 글 삭제 부분의 운영진 대리 삭제의 당사자 목격자 항목 삭제
그리고 몇가지 불필요한 문장 삭제 및 글 순서 재배치입니다.
추가: 공동 작업 삭제 절차 관련 항목을 추가하였습니다.
삭제 투표 결과에서 반대로 결정된 문서에 대해서도 규정을 추가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삭제 투표 마무리 이후 계속 삭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인지, 얼마간의 유예기간을 뒀다 다시 투표를 재개할 것인지…
http://sandbox.scp-wiki.kr/new-deletions-guide
추가하였읍니다.
사소한 수정 역시 하였읍니다.
이렇게 되어 있는데, 그러면 규정 상 공동 작업 항목에 대해서는 무제한 삭제 건의를 발의해서 계속 삭제 투표를 진행하는 것을 허용한다(설령 투표 결과 살아남아도)는 것으로 읽힐 수도 있어보입니다.
그렇군요…
같은 회원이 재건의를 해도 효력이 없다는 것을 명시하게 수정하였습니다.
정리가 어느정도 된거 같으니 다음주 수요일(9월 26일)다음주 토요일까지 반대 의견이 나오지 않는다면 개정안으로 페이지를 바꾸겠습니다
http://sandbox.scp-wiki.kr/new-deletions-guide
SCP-KO 목록에서의 별칭 삭제와 관련된 내용도 추가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추가하였읍니다. 개정안이 수정되었기 때문에 갱신 날짜를 이틀 뒤인 이번주 토요일 (9월 29일)로 바꾸겠습니다.
삭제절차 개정안이 적용되었읍니다.
짝짝짝
아, 이거 뒤늦게 떠올랐는 데 유예 기간 없이 삭제되는 경우에 "작성 조건을 충족하지 못 한 글" (ex: 게시글 3개 올리지 않은 채로 작가 페이지 생성, 팬아드 3개 올리지 않은 채로 아트워크 페이지 생성)도 추가해야 할 것 같습니다.
현행 규정대로라면, 등재 조건 미달이 명백함에도 삭제 투표를 통해서만 삭제할 수가 있네요.
추가하였읍니다.
1. 주니어 스태프도 삭제 투표를 열 수 있나요?
2. 매 수요일마다 열리는 삭제 투표는 정확히 몇 시에 열린다는 기준이 있나요? 예를 들어, 화요일 20시경에 올라온 글이 -평점에 머무르는 경우 수요일 20시에 즉시 삭제 투표를 여는 것이 가능한가요?
(PM으로 답변 받았습니다)
1. 그러기 위해 뽑은 주니어 스태프입니다. 가능합니다.
2. 시간 기준은 없는 것으로 압니다. 다만 24시간 유예시간 규정은 투고직후 0점대에서의 평점 요동을 고려한 조치인 만큼 다소 온정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경연 투고작은 해당 경연 종료시까지 삭제를 미루는 것이 관례화된 것 같은데, 이를 삭제 규정에 포함시키는 것은 어떨까요?
정기경연의 경우 주최자 샐러맨더님의 의사로 해당 룰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사실 이 하나만으로도 한위키 경연 50% 이상이 삭제유예 룰을 따르지 않는 셈이라서 규정화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