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재단 부서 목록

한국어 재단 부서


문서 개요: 재단은 비정상적이고 형이상학적인 것에 대해 철저히 확보하고, 격리하고, 보호하면서 커다랗게 성장하였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업무는 변칙적, 비변칙적으로 다각화되었고, 이에 현존하는 모든 단체가 그렇듯이 재단은 각 업무를 부서 단위로 나누어 대처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지금까지 보았던, 또는 보지 못했던 수많은 부서의 발족으로 이어졌습니다.

부서의 규모, 구성, 목적은 다양하며, 특정 목적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서에는 물류, 인사, 예산 등 일반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부서부터 정상과학으로 설명되지 않는 변칙성을 이용, 조사, 탐구하는 부서들도 수없이 존재합니다. 이렇게 수 많은 부서들은 서로 상호보완적으로 도움을 제공하고, 또 제공받습니다. 각 부서는 각자가 맡은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지원을 받게 되지만, 재단의 필요에 따라 해체, 흡수, 분할될 수도 있습니다.


무속학부

Muism Department

%EB%AC%B4%EC%86%8D%ED%95%99%EB%B6%80.png

개요: 무속학부는 근본적으로 한국 무속을 주류로 연구하고 있으나 점차 무속학부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해외 지부의 무속, 민간 신앙과 관련된 변칙성 등도 연구하며 대응하고 있는 부서다.

현재 대한민국 전역의 무속학 관련 변칙성들을 전담해 추적하고 조사하며 연구하는 대규모 부서로, 신화수집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여러 변칙 존재들을 찾아 격리하는 데에 일조하고있다. 현재 특화된 바에 따라 대한민국 전역에 여러 분과들이 존재하고, 신화학과와 강신학과 등 개중 주요 학과들이 수도권에 위치한 21K기지와 제주에 위치한 13K기지에 집중되어 있다.

무속학부와 관련된 변칙성으로는 구전설화로만 전해져 내려온 여러 토속적인 변칙 존재(요호, 도깨비 등) 뿐만 아니라 여러 잡귀를 포함하는 심령 독립체, 주위에 변칙성을 일으키는 굿, 아주 드물게는 신으로 불리며 추앙받는 존재들 등등 여러 특수한 경우들도 점차 발견해 나가며 그 세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무속학부 태그가 달린 모든 문서를 보려면, 이곳을 클릭할 것.

분석심리학부

Department of Analytical Psychology

%EB%B6%84%EC%84%9D%EC%8B%AC%EB%A6%AC%ED%95%99%EB%B6%80.png

개요: 분석심리학부는 칼 융의 초기 심리학 이론인 분석심리학에 입각하여 인간의 정신을 구성하는 여러 변칙적 요소들과 그 활용을 연구하는 재단의 초심리학 연구부서이다.

분석심리학은 기존 프로이트의 성적 소구(리비도) 중심의 초기 심리학인 '정신분석학'을 비판하며 갈라져 나왔다. 인간의 정신을 의식과 개인무의식, 집단무의식으로 나누고, 심층 정신의 정신구조를 규명하며, 이들 사이의 정신에너지 흐름을 통해 야기되는 다양한 정신반응으로 인간의 심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재단의 분석심리학부는 주로 집단무의식 내에서 일어나는 변칙 현상, 혹은 변칙적으로 야기된 집단무의식 내의 정신반응을 추적하고 이를 예방하며, 텔레파시를 연구하여 다양한 정신적 공격에 대응 및 활용을 연구하고 있다. 이에 더해 전반적인 인간 정신과 관련한 다양한 업무를 도맡고 있으며, 특히 인간의 정신 신호를 해석하기 위한 디지털 연산체계인 JUNG 아키텍쳐의 관리를 중심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분석심리학부 태그가 달린 모든 문서를 보려면, 이곳을 클릭할 것.

변칙예술학부

Department of Anart

%EB%B3%80%EC%98%88%EB%B6%80%20%EB%89%B4%20%EB%A1%9C%EA%B3%A0.png

개요: 변칙예술학부는 이름 그대로, 변칙예술과 관련된 사건에 대응하는 부서이다.

2016년 변칙예술학과로서 재설립된 이 부서는, 재단이 행해오던 변칙예술에 대한 탄압을 멈추고 다른 방향으로 장막을 수호하기 위해 결집됐다. 이는 2020년 풍소경 학부장의 합류로 정점을 찍었으며, 이내 변칙예술학부로 승급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칙예술학부의 주요 목적은 바로 변칙예술계와 재단의 대외관계 조절이다. 변칙예술품을 확보하고 격리하고 보호하는 동안, 이들은 변칙예술가의 신변을 보장해주며 예술품에 대한 깊이있는 분석을 진행한다. 재단은 더 이상 예전과 같이 모든 변칙예술품과 예술가들을 상자 안에 집어넣고 잠그는 조직이 아니다. 혹은, 아니게 될 것이다.

이것이 변칙예술학부의 이상이다.

변칙예술학부 태그가 달린 모든 문서를 보려면, 이곳을 클릭할 것.

지속가능격리개발과

Sustainable Containment Development Division

Rncskslsl

개요: 2007년 실험적 부서로 설립된 지속가능격리개발과는 격리부 산하의 부서로, 지속가능한 재단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들의 궁극적 목표는 재단이 주변 환경과 자원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모든 격리 시스템이 영구히 자급자족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지속가능격리개발과의 첫 분과장 현미훈 박사는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했었고, 현재 그 의지를 직속 제자였던 임찬미 박사가 이어받으면서 지금의 지속가능격리개발과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상술된 목표를 이루기 위해, 지속가능격리개발과는 생물학, 자원관리학, 산림학, 심지어는 경제학과 법학 부분 전문가까지 섭외하여 다양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허나, 이들이 만든 결과물이 너무 기괴하며 보편적으로 이용하기 난해하다는 평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지속가능격리개발과 태그가 달린 모든 문서를 보려면, 이곳을 클릭할 것.

존재학부

Department of Ontology

%EC%A1%B4%EC%9E%AC%ED%95%99%EB%B6%80.png

개요: 존재학부는 현실에 있는 모든 것을 존재로 보며 이 존재들을 실존과 비실존으로 나누어 구분하고, 특정 요소들을 활용해 변칙 존재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그것의 실존 정도가 어떤 방식으로든 '정상 범주'를 벗어났다면 그들 특유의 방식으로 격리 방법을 고안하고 대응하는 연구 부서이다.

이들은 존재학에 대한 견해 및 해석의 차이로 3가지 학과로 나뉘어져 있는데, '인과'라는 과정을 거쳐, '정체성'이라는 것이 쌓여 결국 존재하게 된다는 '인과성-정체성 존재학과', 인류가 알고있거나 모르고있는 개념들이 '이데아'라는 가상 차원에 '베리타스'라는 이름으로 존재하고 이 중 일부가 현실에 비춰질때 실존하게 된다는 '초월개념 존재학과', '질료'라는 무언가에 어떠한 '정보'가 들어가게 된다면 그 정보대로 존재하게 된다는 '정보유물 존재학과'로 나뉘어 진다.

현재 존재학부는 다른 학과/부와는 확연히 다른 개념을 연구하고 있어 시행착오 및 사건 사고가 많았고, 사용하는 자금량에 비해 연구 진전이 더뎠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학과/학부들로부터 배척받는 경우도 있다.

존재학부 태그가 달린 모든 문서를 보려면, 이곳을 클릭할 것.

WoI 연구과

Web of Interest Research Division

woi%EC%97%B0%EA%B5%AC%EA%B3%BC.png

개요: WoI 연구과는 인터넷 상에서 변칙성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무리, 또는 인터넷에 내재된 변칙요소 그 자체에 대처하고 연구 및 감시, 견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모든 네트워크 허브는 Web of Interest, 즉 WoI로 지칭된다.

WoI 이용자들은 보통 장막정책에 구애받지 않는 초상세계의 주민으로, 여러 목적을 가지고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허브를 통해 서로 소통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재단을 의식해서 민간의 관심을 끌만한 행동은 벌이지 않지만, 그들의 활동에 따라서 장막정책에 충분히 위협적인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재단은 이들을 하나의 분류로 묶고 전문 인력을 투입하여 지속적인 감시와 대응을 이어나가기로 했으며, 이에 발족한 것이 WoI 연구과이다.

인터넷 커뮤니티가 다가 아니다. 인터넷을 돌아다니는 변칙적 개체, 변칙적 쇼크 웹사이트, 그리고 정상세계 웹사이트에서 수집된 증언까지. 연구과는 인터넷 구석구석을 탐험하며 재단의 강령을 적용한다.

woi연구과 태그가 달린 모든 문서를 보려면, 이곳을 클릭할 것.


🈲: SCP 재단의 모든 컨텐츠는 15세 미만의 어린이 혹은 청소년이 시청하기에 부적절합니다.
따로 명시하지 않는 한 이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