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공식적인 설정이 아님을 미리 밝힙니다.
정보
재단 기동항공대 허브
작가: thd-glasses
이미지 출처
- https://pixabay.com/photos/c-130j-super-hercules-air-force-2777740/
- https://pixabay.com/photos/fighter-jet-air-force-phantom-ii-60528/
- https://pixabay.com/vectors/world-map-map-world-black-earth-297446/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494th_Fighter_Squadron_F-15E_Strike_Eagle.jpg?uselang=ko
-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title=Northrop_Grumman_RQ-4_Global_Hawk&uselang=ko#/media/File:RQ-4_Global_Hawk_4.jpg
- https://www.doopedia.co.kr/photobox/comm/community.do?_method=view&GAL_IDX=111224000817657#hedaer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Usaf.u2.750pix.jpg
- https://pixabay.com/photos/c-130-hercules-aircraft-aviation-2552739/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USS_Gerald_R._Ford_(CVN-78)_underway_on_8_April_2017.JPG
그 외 이미지는 자작. 모든 이미지 편집은 thd-glasses의 작품임.
기동항공대 현황 보고서

제20세기는 항공의 시대였다. 1903년 최초의 동력 비행으로부터 반 세기도 흐르기 전에 인류는 비행기를 전쟁 도구로 삼아 음속과 제트의 세계를 열어 젖혔다. 많은 조직들이 이 가공할 속도의 변화에 적응해야 했고, 재단도 예외는 아니었다.
재단은 192█년 정찰연락기 도입을 시작으로 독자적인 항공 전력을 구축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정찰, 수송부터 함재기 부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공중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공군력을 보유하고 있다. 본 문서의 내용은 현재 재단 항공부대의 편제와 전력, 시설, 임무 현황을 간략히 정리한 것이다.
기동항공대 작전사령관 애머디어스 F. 캐이저
부대 개요 UNITS OUTLINE
재단의 항공 전력은 일부 특무부대와 경비대, 대응반에서 자체 보유한 전술기를 제외하면 모두 기동특무부대 본부 산하의 직할 사령부급 부대인 기동항공대 알파-17에 소속되어 있다. 통상의 공군과 달리 영공 방위나 적 항공세력 대응의 필요성이 거의 없는 재단 항공부대는 유기적인 작전 수행을 위해 독립된 군 편제를 갖추지 않고 기동특무부대 부서에 소속되어 있으나, 단일 부대로 편성하기엔 그 규모와 임무 특성 차이가 크므로 기동항공대 알파-17 휘하에 일선급 독립 부대를 예하 부대로 편성하여 운영한다. 기동특무부대 알파-17은 재단의 항공력을 총괄하는 작전사령부이다. 상위급 제대이므로 그 자체는 사령부 시설 방어를 위한 육전 전력을 제외하면 직접적인 전투력은 보유하고 있지 않다. 알파-17은 O5 평의회와 기동특무부대 본부의 지시에 따라 예하 부대들의 편제와 임무를 조정하며, 예하 부대의 임무 수행 내용을 종합하여 수집된 정보와 완료된 임무를 파악한다. 각국의 민간 항공청과 군 방공관제계통의 협조를 통해 예하 부대의 비행에 문제가 없도록 하는 것 역시 사령부 직속 제17운항조율전대에서 담당하고 있다. 알파-17 휘하의 항공 전력은 기본적으로 통상의 군용 항공기와 부속 장비를 구입하여 운용 중이나, 그 임무의 특이성으로 인해 장비 및 기체에 필요한 개량이 이루어져 있는 기종도 적지 않다. 이러한 자체 개량/개발 장비로는 각종 비파괴 제압용 무장, 공중 에어로졸 살포식 기억소거 장비, BISON, 제트엔진용 소음기, 인식저해 도료 등이 대표적이다. |
위치 LOCATION

미주리 기지에서 이륙하고 있는 파이-0 소속의 F-15X 스키퍼 이글 전투기.
SCP 재단 비행기지 R1 "미주리"SCP FOUNDATION AIR BASE R1 "MISSOURI" |
|
최선임 지휘관 : | 사령관 애머디어스 F. 캐이저 중장 |
위치 상세 : | 미합중국 미주리주 [편집됨] |
활주로 정보 : | 3150m × 2,헬리포트 × 6 |
임무 개시일 : | 192█년 █월 █일 |
배치 부대 : | 파이-0, 에타-100 |
미주리 기지는 재단 항공력의 시발점이자 중심 시설로, 기동특무비행단 파이-0와 기동특무비행전대 에타-100이 배치되어있고 기동항공대 알파-17 사령부도 함께 위치해있다. 미합중국 중부 미주리강 인근 평야지대에 위치한 미주리 기지는 총 2개의 3000m급 활주로와 6개의 헬리포트를 보유한 대형 비행장으로, 대규모 항공 작전을 지원할 수 있도록 건설되었다. 파이-0가 운용하는 두 종의 전투기와 에타-100의 다양한 회전익기 외에도 파이-0 제112대대 휘하의 제1공중급유중대가 KC-30 보이저 공중급유기를 보유, 각 전술기의 작전 반경 및 임무 시간 연장을 도모하고 있다. 192█년 델타-61 창설 당시 그 운용 기지로써 건설된 미주리 기지는 당초 1000m급 활주로 1개를 보유한 소형 비행장이었다. 재단이 항공 전력의 가치를 인정하고 육성에 나서면서 미주리 기지 역시 증개축을 거듭하여 현재의 설비를 갖추게 되었다. 또한 각지에 새로운 비행기지를 건설하고 기동특무비행단들이 신설, 개편되는 과정에서 미주리 기지를 이용하는 부대도 여러번 변화했다. 타우-99 창설 후 활주로를 증설하고 알파-17 사령부 건물을 건립했으며, 194█년 람다-5 창설로 총 3개의 비행단이 미주리 기지에 주둔함으로써 비행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약 85km의 가까운 거리에 민간인 구역이 위치해있고 기지의 혼잡도도 지나치게 커지는 등의 문제로 기지 증축이 어렵다는 판단 하에 재단은 새로 비행기지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R2 유콘 기지가 건설되었고 델타-61이 유콘 기지로 이전했다. 196█년 파이-0가 창설되어 기지 협소 문제가 재부상하자 람다-5가 R3 나일 기지로 모기지를 옮겼으며 199█년 타우-99가 R5 그레이트샌디 비행장으로 이전했다. 최종적으로 신설된 에타-100이 미주리 기지에 전개함으로써 현재의 부대 배치가 성립되었다. |
임무 MISSIONS
SCP-616 격리 유지 작전
SCP-2556 격리 유지 작전
SCP-079-KO-3 격리 유지 지원 작전
SCP-797-KO 회수 작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