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P 데이터베이스
SCP 자료
사이트
커뮤니티
링크
새 회원 정보
새 기여자 정보
사이트 가입하기
관리
해설을 붙이고는 싶은데… 이거 어디 비유할지 난감합니다.
(디랙이는 전에 소개한 아는 후배입니다)
본사 비추천 개수는 추천 개수의 반에 육박합니다. 당연할지 모르겠지만 단편경연이니까 봐 준다는 사람도 있고, SCP-231급 역작이라는 사람도 있고, SCP-579보다도 못한 아류작이라는 사람도 있습니다. 저는 그래도 579보다는 나은 것 같은데…
아 왜요ㅠㅠ 048처럼 저 번호가 몇 번 개트롤링 당했나요?
이 SCP의 설정 자체가 자신이 저지른 잘못 때문에 현실로부터 유폐당해서 재단이 건들지 못한다는 거 아닐까요.
별칭 "구제할 수 없는 것"보다 "구제불능"이 더 좋지 않을까요?
후자는 일상에서 종종 과장된 표현으로 쓰이는 용례가 있다보니, 전자로 풀어 쓰는 게 분위기가 더 사는 것 같습니다.
원문이 1개 어절(Irredeemable) 이기도 하고, "과장된 표현"으로서의 "구제불능" 역시 본 SCP의 내용과 배치되지 않는 것 같아요.
저는 irredeemable의 이미지와 "구제불능"의 이미지가 왠지 맞아들어가지 않는 것 같았습니다. 그 차이를 나타내려면 풀어써야 하겠다는 느낌이 있었고…
"구제불능"도 가능하겠지만, 이 정도 선례가 있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