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P-093 보충 문서들이 기존에 일부 번역되어 있는데, 이들 번역 문서 전체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재번역을 요청합니다.
- subject가 일체 대상으로 번역되어 있는데, 번역 규정 상 '피험자'로 번역해야 합니다. 일괄 수정해도 될지 요청합니다.
- 또한 영상 기록 일체가 과거형으로 번역되어 있는데, 파랑 실험만 보아도 원문은 현재형(is, flickers, turns back…)과 과거형을 구분하고 있는데(engaged, requested…) 굳이 원문과 달리 일체 과거형으로 번역할 이유가 있는지 의문입니다. 시제에 맞게 수정해도 될지 요청합니다.
또한 지금 보충 문서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는 중인데, 일단 파랑색 실험 문서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재번역 요청합니다.
Subject's background shows instance of murder/attempted suicide.
대상의 이력에는 살인/자살시도를 한 사례가 있다.
instance가 사례이기는 한데 너무 직역이 아닌가 합니다. 카잔 님 번역대로 '살인 및 자살 시도 전과가 있다.'고 하는 게 훨씬 더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Subject moves forward as instructed, traveling for approximately 500 steps before something becomes visible, a patch of the land up ahead is barren and grass can be seen dying as subject approaches it.
대상은 지시받은 대로 앞으로 나아가서 뭔가가 보이기 전까지 약 500걸음 이동했고, 앞에 있는 매우 척박한 땅 한 부분과, 대상이 마주했을 때엔 거의 죽어가는 듯한 풀을 보았다.
as subject approaches it은 그냥 '피험자가 다가서자'라고 번역하는 게 더 자연스럽지 않나 싶습니다. patch of land는 '땅뙈기'로 수정하고, grass can be seen dying이므로 '죽어가고 있는 풀밭'으로 수정할 것을 요청합니다.
The hole has been dug using unknown tools of primitive origin.
구멍은 기원이 원시적인 알 수 없는 도구로 파여 있었다.
음.. 이 번역문만 보면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구멍은 불명의/정확히는 알 수 없는 원시적인 도구를 사용해 판 것으로 보인다.' 정도로 수정할 것을 요청합니다.
Asked about the blue tinge subject expresses confusion and says there is no such tinge from his perspective, and never was.
파랗게 물든 광경에 대해 질문했더니 대상은 혼란스러워하면서 그의 시점에선 물듦 같은 건 보이지도 않고 그랬던 적도 없다고 말했다.
'물듦 같은 건'은 너무 번역 투 같습니다. tinge가 색조, 색깔 정도의 뜻이므로 '자기 시점에서는 그러한 색조는 없으며 ~' 정도로 하거나, 아예 의역해서 '자기 시점에서는 그러한 현상은 없으며~'로 할 것을 요청합니다.
The tunnel turns from bare dirt to a concrete enclosure, subject complains of a stench. The light source is revealed to be ceiling light fixtures, a series of which with less than a quarter broken while the others function. A series of six doors, three to a side, span before the camera view with a seventh door visible at the end of the corridor that has been blocked by what looks like generic metal shelving debris. Debris shows signs of rusting and is typical of retail store units suggesting other human presences.
통로는 맨흙에서 콘크리트로 둘러쳐진 환경으로 변했고 대상은 악취에 불평했다. 다른 사유로 4분의 1 미만이 부서진 천장에 늘어선 조명기구를 광원이 드러냈다. 다앙한 금속 선반의 잔해 같은 것으로 막힌 복도 끝에 있는 7번째 문으로 카메라 시야가 향하기 전, 셋이 한쪽으로 늘어선 여섯개의 문이 보였다. 잔해에서는 녹슮과 상점에서 판매하는 전형적인 가구라는 흔적이 보였고, 이는 다른 인간의 존재를 암시한다.
번역문만 봤을 때 무슨 뜻인지 잘 이해가 안 갑니다. '다른 사유로'는 아마 while the others function(다른 것들은 작동하는데)을 오역한 것 같고, '셋이 한쪽으로 늘어선'은 three to a side(한 쪽에 세 개씩)를 오역한 것 같으며, '녹슮과 상점에서 판매하는 전형적인 가구라는 흔적'은 지나친 직역 같습니다. is typical of~를 동사가 아니라 signs of~에 걸리는 것으로 해석했다는 점에서 오역이기도 하고요.
Subject requested to try doors, in whatever order he chooses.
대상은 그가 원하는 순서대로 문을 열어보라 요청받았다.
너무 직역 같습니다. '피험자에게 원하는 대로 문을 열어보라 요구했다' 정도로 하면 어떨까요.
All doors are shaped in such a way that nothing can visibly escape from the sides and space for movement is too thin to look through even at ground level.
모든 문들은 한 면에부터 탈출할 수 있을 법한 방법이 없어 보였고 아래틈을 통해 살펴보는조차도 힘들 만큼 움직일 공간이 좁은 형태이다.
마찬가지로 번역문만 봤을 때 무슨 뜻인지 잘 이해가 안 갑니다. visibly가 눈에 보이게, 뚜렷하게라는 것을 생각하면 이 문장은 그냥 피험자가 문 옆의 틈도 보고 아래 틈도 봤는데 아무것도 안 보인다는 뜻입니다. 그러한 의미를 살려서, '모든 문들은 옆의 틈으로 아무것도 볼 수 없는 형태이며, 이동 공간이 너무 좁아 심지어 아래 틈을 통해 살펴볼 수도 없다.' 정도로 할 것을 요청합니다. too~ to니까 '힘들다'가 아니라 아예 불가능하다고 해야 하니까요..
First door on left hand is locked, but part of key is present in lock from stem to the ridges, the back has been broken off.
왼쪽 첫번째 문은 잠겼지만 열쇠 일부가 길쭉하게 솟아 있는 윗부분이 부러진 손잡이에 달린 자물쇠에 남아 있었다.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왼쪽 첫 번째 문은 잠겼지만 열쇠 조각이 자물쇠에서 길쭉하게 튀어나와 있고, 뒷부분은 부러져 있다.' 정도로 할 것을 요청합니다.
Audio on the tape goes strange and a high pitched screeching noise like grinding metal dominates all communication for 3.5 seconds.
테이프에서 금속을 연마하는 듯한 고음의 긁는 소음이 들렸고 3.5초간 모든 연락 수단을 장악했다.
'장악했다'나 '연마하는'이 지나치게 직역입니다. (grind는 딱히 '연마한다'도 아니기도 하고) '테이프의 오디오가 이상하게 변하더니 금속이 삐걱거리는 듯한 고음의 날카로운 소음에 모든 통신이 3.5초 동안 차단된다./막힌다.' 정도로 할 것을 요청합니다.
Control made no requests during that time as headsets were removed.
그 시간동안 조종자는 헤드셋을 벗고 있던 탓에 아무런 요청을 하지 못했다.
control을 조종자가 아니라 통제실로 할 것을 요청합니다. 군사 용어에 가까워 보이는데 '조종자'로 할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밑에 control personnel이라는 표현이 있으므로 통제실로 하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Subject advised to leave room and notes that the door has begun closing slowly on its own and if left alone, will close.
대상은 방을 나갈 것을 권고받았으며, 문이 알아서 천천히 닫히기 시작했고 놔두면 알아서 닫힐 것이라는 기록을 하라고 요청받았다.
명백한 오역입니다. subject에게 advised했으며, subject는 notes that~(~라고 언급한다)라고 해야 합니다. notes여서 advised to에 걸릴 수 없는데 걸리는 것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Subject poses no protest and complains of ever increasing stench.
대상은 악취가 증가한다는 항의와 불평을 표하지 않았다.
항의하지 않았으며 악취가 증가한다고 불평했습니다.
Control admits they are unsure due to complications but subject traveled in a straight line to reach the hole so it should be a straight line back.
여러 곡절 때문에 잘 모르겠다고 조종자가 인정했지만 일자로 걸어서 구멍에 도달했으니 돌아올 때도 줄이 일자여야만 한다.
'상황이 복잡해서 잘 모르겠다고'로 할 것을 요청합니다.
Panic breaks in control again but subject notes only oddity as being the cable having an angled path.
조종자가 공황에 휩싸여 통제를 멈췄지만 대상은 줄이 구부러져있다는 이상한 점만을 기록했다.
원문 저자가 control(통제실)을 대문자로 쓰고 있지 않아서 헷갈리신 것 같은데, 통제실이 다시 한 번 공황에 휩싸였다는 것이지 통제를 멈췄다는 뜻은 없습니다. again도 빠져 있네요. note는 기록하다가 아니라 언급하다가 맞아 보입니다.
Control begins to reel in the pulley system and slack rapidly winds. Watching the angled cable movement can be seen as grass is disturbed further down the angled portion from the reeling in then the line vibrates as it meets resistance and emits a 'twang' from the recoil. Subject's camera pans back along length of cable which now appears to slowly be allowing more slack before suddenly all slack is returned and pulley system begins again.
조종자는 도르래를 끌어당기기 시작하며 느슨한 부분을 신속히 감았다. 풀 때문에 구부러진 줄의 움직임이 가려졌고 구부러진 부분 앞쪽이 휘청하더니 저항에 맞닥뜨린 줄이 떨리며 움찔해 '팅'하고 울리는 소리를 냈다. 줄이 갑작스레 도로 느슨해져서 도르래를 다시 작동시키기 전, 지금은 천천히 느슨해져서 늘어나는 줄을 향해 대상의 카메라가 다시 돌았다.
번역문만 봤을 때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통제실은 도르래 장치의 줄을 감아올리기 시작하며, 느슨한 부분이 빠르게 감긴다. 아래에 풀이 있어 구부러져 있는 케이블의 움직임을 볼 수 있으며, 그러더니 줄이 갑작스레 무언가에 부딪치고 반동에 '팅' 소리를 내며 떨린다. 피험자의 카메라가 이제는 천천히 점점 더 느슨해지고 있는 줄을 향해 다시 돌아가고, 갑작스레 느슨한 부분이 일제히 당겨지더니 도르래 장치가 다시 작동한다.'로 할 것을 요청합니다.
Control reports being able to see subject returning toward point of origin while camera shows wire disappearing into a point floating in the air.
대상이 출발 지점으로 돌아오는 모습을 조종자가 보는 동안, 줄이 공중의 한 지점을 기점으로 보이지 않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다고 조종자는 보고했다.
disappear into이므로 '공중의 한 지점 속으로 사라지는' 것입니다. 또한 control~ 절과 while 절을 구분하여, '통제실은 피험자가 출발 지점으로 돌아오고 있다고 보고하며, 카메라에는 와이어가 공중의 한 지점 속으로 사라지는 것이 보인다.' 정도로 번역할 것을 요청합니다.
SCP-093은 1시간 후에 대상에게 회수될 때까지 푸른색으로 남았다고 조종자가 보고했다.
대상에게서 회수, 라고 해야겠네요.
This fluid dried quickly and was deemed insignificant of study due to lack of quality sample. Control personnel monitoring the mirror state having seen a massive human being, crawling on the ground, easily fifty times the size of a normal person with no facial features and a very short arm reach, pulling itself toward the mirror before it returned to a reflection. Due to proximity fine details could not be made out but at least one observer noted the being appeared to have been shot from the marks in the otherwise smooth featureless face.
이 유동체는 빠르게 건조되었으며 충분한 양의 샘플이 없기 때문에 연구하기엔 부족했다. 거울을 관찰하던 조종자가 '지면에 우글거리는, 얼굴이 없고 팔길이가 매우 짧으며 평범한 사람 크기의 쉰 배는 될 법한 거대한 인간'이, 거울이 제대로 된 풍경을 반사시키기 전에 스스로를 거울 쪽으로 끌어가는 것을 보았다고 진술했다. 지나치게 근접하여 제대로 된 세부 사항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한 명의 관찰자가, 그것 외에는 그저 매끄럽고 특징이 없는 얼굴의 표식에서 생물이 발사되었다고 기록했다.
번역문만 보면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이 유동체는 빠르게 말랐으며 품질 견본이 없었기 때문에 연구하기에는 의미가 없다는 판단이 내려졌다. 거울을 관찰하고 있던 통제실 인원들은 땅에서 기어다니고 있는 거대한 인간을 보았는데, 평범한 사람 크기의 50배는 거뜬히 되었고, 이목구비가 없었고 팔 길이는 매우 짧았으며 실제 반사된 상으로 돌아오기 전까지 거울을 향해 다가오고 있었다고 진술한다. 너무 가까워서 상세히 알 수는 없었으나 최소 한 명의 관찰자는 밋밋하고 특색 없는 얼굴에 있는 상처를 보고 그 생물이 총에 맞은 것 같다고 언급하였다.' 정도로 할 것을 요청합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crawling on~이 '우글거리는'으로 오역되어 있으며, no facial features가 '얼굴이 없고'로 오역되어 있고, reflection이 '제대로 된 풍경'이라고 오역되어 있으며, being appeared to have been shot이 '생물이 발사되었다'로 오역되어 있습니다. pull itself toward the mirror는 지나치게 직역되어 있습니다.
Field Test Kit recovered from subject containing a news paper article that reads: [DATA EXPUNGED] and was filed as item [DATA EXPUNGED].
대상에게 회수된 현장 검사 장비에 들어있던 것은 [데이터 말소]라 적힌 뉴스 기사와 [데이터 말소] 물품으로 기록되었다.
명백한 오역입니다. 회수된 것은 신문 기사 하나뿐이며, 이 신문 기사가 item [DATA EXPUNGED]로 file(분류)된 것입니다. '피험자에게서 회수된 현상 검사 장비함에는 [데이터 말소]라 적힌 신문 기사가 회수되었고, [데이터 말소] 항목/일련번호로 분류되었다.'로 할 것을 요청합니다.
이들 보충 문서 번역자이신 kimnokcha님께서 포럼에 오역이나 용어 수정은 본인의 의견을 물을 필요 없이 요령껏 수정해도 된다고 허가하신 바가 있습니다.
원번역자(저작권자) 동의가 있으므로, 번역 규정 상 재번역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른 보충 문서에 대하여 재번역 요청 없이 중대한 수정을 가해도 될지 운영진의 판단을 구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