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리몰리, 이거 저도 "전역하면 열고 싶은 경연 아이디어 목록"에 넣어놓고 오매불망 기다리고 있던 경연인데. 개최에 대찬성합니다. 허브, 특히 투고작 목록 양식도 이쁘고 깔끔하고 좋네요.
아래는 상세한 룰에 대한 의견입니다.
팀장은 작가 중에서만 뽑을 수 있나요?
이미 +17의 평가를 받고 있는 BE 허브와의 공정한 경쟁을 위해 GOI 허브 페이지는 평점 합산 대상에서 완전히 제외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대신 평가 안들어간다고 허브를 대강 만드는 걸 방지하기 위해 허브가 마이너스 평점을 받을 시 그만큼 팀 평점을 깎는 식의 장치는 필요할지도 모르겠네요.
개별 페이지에 대한 평가 외에, 이번 경연의 개최 의도인 "스토리라인"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본사처럼 중립적인 평가단을 구성해서 매긴 종합평점을 추가하면 어떨까요?
요주의 단체 서식의 양식은 하나로 제한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GOI-KO 서식 창작이 지지부진을 넘어 서식 양식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서식의 난립을 허용하는 룰로 가면 (SCP 보고서에 대응하는 정형화된 창작 양식이라는) GOI 서식 장르의 특성이 시작부터 틀어질 가능성이 우려됩니다. 그리고 하나로 제한하는 쪽이 각 팀 내에서 단체에 더 어울리고 더 흥미로운 서식 양식을 정하기 위한 건설적인 토론을 촉발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팀 참가자는 자기 팀 작품에 투표 불가" 룰에서 참가자는 투고작이 없이 아이디어 참여만 한 사람도 포함인가요? 그렇게 잡으면 팀 구성에 따라 경연작에 투표할 수 있는 사람이 남지 않을 지도 모르겠다는 위기감(…)이 조금 듭니다. 제한요건을 작가로 완화할 것을 제안합니다.
부적절한 행동에서 "작품을 악의적으로 평가하기"는 대상이 명확하지 않고 불필요한 예시로 보입니다.
아트워크 등 규정되지 않은 참가 유형에 대응하기 위해, 투고작 목록 란에 "기타"를 추가하길 건의합니다.
Q&A의 영어 문답을 조금 고쳐봤습니다.
Q : I'm not a Korean speaker. Can I join in this contest? A : Yes. But you have to write your article in Korean.
일단 그 부분은 좀 애매한게 맞네요. 작가의 기준이 투고한 작품이 있는 것인데, 팀장은 투고 기간 이전에 정해야하니까요. 우선 팀장을 선출한 뒤 한번은 바꿀 수 있으니 팀장이 작품을 올릴 수 없게 되면 팀장을 재선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될거 같습니다. 그부분에 대해선 추가로 적어두겠습니다.
저는 차라리 "팀원은 작가와 팀장으로 정한다"고 정의하는 게 더 효율적&합리적일 것 같습니다. 팀장은 주저자로 활동하지 못하더라도 경연 주최측과 소통하며 팀의 창작 방향을 이끄는 역할입니다. 경연 기간 내내 팀원을 조율하여 나름의 결과를 낸 팀장이 막판에 팀에 이름을 올리지 못하고 새 팀장을 뽑아야 할 지도 모르는 현 규칙은 문제의 소지가 있어보입니다.
서식은 상관없지 않을까요? 내용에서 평가하는 게 "서식을 적용한 창작글"이지 서식 자체는 아닐 테고, 경연에 참여하는 글은 아마도 따로 경연 태그가 달릴 테니 기존 GoI 서식글하고 헷갈리진 않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B.E도 "기존 GoI 서식글"은커녕 아예 서식이 아직 없습니다… (테마는 있는데 이런 거 같은 "틀"이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