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협 식별문구: KTE-1505-코로나 "별・불가사리"
수권대응기준: 1 3
설명: KTE-1505-코로나(이후, "대상"으로 칭함)란, 극피동물 중 불가사리 목과 유사한 생체적 특징을 가진 생물이다. 총 개체 수는 약 4200마리 정도이며, 상공 350km 저궤도 상에 부유하고 있다. 정기적으로 태평양에 건설된 재단의 시설로 녹색의 빛을 띠고 하강한다. 개체는 최대 길이 80cm의 것이 확인되어 있다.
교전규칙: 재단과의 협정에 따라 교전은 금지되어 있다. 협정에는 재단에서 각종 은폐를 보장함도 명기되어 있다. 대상은 파편 더미로 위장되어 있기 때문에, 파괴된다면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부칙1: 2023/7/7에 대상이 한 개체 주위에 모이기 시작했다. 해당 개체는 길이 5m이며, 확인된 개체 중 최대 크기이다. 재단은 집합체(KTE-1505-코로나-덩어리로 지정. 이후, "mass"로 칭함)의 낙하에 대한 대책으로 연산 프로그램을 이용한 공중 확보를 예정하고 있다.
부칙 2: 2023/10/3에 mass가 갑자기 붕괴했다. 당시 mass에는 전체 개체 중 약 절반이 집합하고 있었다. GOC와 재단이 공동으로 전부 회수하였다. 그러나, mass의 중심에 존재하던 최대 크기의 개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후 대상의 사체를 검사하였더니, 모든 개체의 체세포가 결손되어 있는 것과 마술적인 흔적이 있는 것이 밝혀졌다. 정황증거로, 주위에 모인 개체 무리가 중심 개체를 향해 양상 방사를 하여, 중심 개체는 공간이동을 하고 다른 개체는 반동 때문에 사망하였다고 추측하고 있다.
중심 개체에 설치된 장치가 센타우루스자리 α성계에 존재하는 행성(이후 S17α성)의 궤도 위에서 위치 정보를 발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후, 대상은 GOC 성간 분과가 취급하게 되었다.
프시케 기록
다음은 무인 탐색기 오군オグン1에 의한 S17α성 탐사 기록이다. 이는 개요를 요약한 것이므로, 상세한 정보에 대해서는 부속 자료를 참조하라.
2025/11/3 12:00 국제 통일 기적학 연구센터, 런던 본부에서 기동.
2025/11/6 03:50 다수의 공간이동을 반복하여 S17α성 근처 약 4000km 지점에 도착.
2025/11/6 05:52 주회 궤도 위를 약 2시간에 걸쳐 공전하면서 행성 표면을 촬영. 적도 위의 어느 지점(KTE-1505-코로나-지점으로 지정. 이후,"point"라고 칭함)에서 대상이 집합하고 있는 것을 확인. 대상 관찰을 계속하기 위해 동기궤도상으로 이동.
2025/11/6 06:24 적도에 대해 약 21도 각도인 동기 궤도 위에 도착. 관찰을 개시.
2025/11/7 12:24 한 바퀴 자전을 끝냈다. 눈으로 확인 가능한 약 22000마리의 개체가 있으며, 1분에 평균 3개가 하강함이 확인됨. 또한, 하강한 범위가 지구의 것보다도 넓고, 지구의 개체와 생태가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지상의 탐색을 실시하기 위해 고도를 낮춘다.
2025/11/7 12:49 오군으로부터 소형인 로봇을 투입. 오군은 동기 궤도 위로 귀환함, 관찰을 계속.
2025/11/7 13:13 지상에 착륙. 대기 조성은 지구에 가까운 것임이 확인되었다. 기온은 영하 30.2℃를 기록. 주위는 설원이 펼쳐져있어 지형적인 기복은 작다. 조금 전 하강이 확인된 지점으로의 이동을 개시.
2025/11/7 13:34 하강 지점에 도착. 주변은 와지로 되어있고, 대상이 여럿 하강하는 것이 밝혀짐. 중심부에 하얀 체모로 덮여있는 사족 보행 생명체 (S17α-α로 지정) 4마리가 있으며, 3마리는 신장 1.5m 정도, 1마리는 신장 2m 정도이다. S17α-α가 행동을 시작할 때까지 대기.
2025/11/7 14:21 대상의 하강을 확인. 작은 3마리의 S17α-α가 대상의 아래쪽을 깨물었다. 발성에 의한 의사소통으로 보이는 행동을 한 후, 2마리는 원래 장소로 되돌아가고, 입에 물고 있는 1마리는 북동쪽으로 향한다. 추격을 개시.
2025/11/7 14:46 다른 S17α-α와 스쳐지나갈 때 발성에 의한 의사소통으로 보이는 행동을 한다.
2025/11/7 15:02 동굴에 도착. 가지고 들어가는 대상을 모으고 있다고 여겨지는 한 구획이 있고, 똑같이 둔 후, 동굴 밖으로 향했다. 그 S17α-α에는 발신기가 장치되어 있다. 동굴 내부에는 큰 개체와 1m 이하의 개체가 여럿 존재한다. 따라서 작은 개체를 성숙하지 않은 S17α-α라고 가정하면, 큰 개체가 "암컷"의 역할이며, 이 동굴은 육아·방한을 위한 둥지로 추정된다. 또한, 대상을 포식하고 있는 S17α-α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앞의 개체는 식량을 둥지로 가지고 들어가는 "일개미"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추정된다. 동굴 내의 탐사를 계속한다.
2025/11/7 16:24 동굴 내부에는 234마리의 S17α-α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대상 이외의 저축분은 볼 수 없었기에, 완전히 대상에게만 식량을 의존한다고 추정된다. "암컷"의 S17α-α가 단독으로 동굴 밖으로 나왔기에 추적한다. 또한, 앞의 S17α-α에 달린 발신기가 전의 하강 지점에서 위치 정보를 발신하였다. 따라서 개체 1마리씩 담당 구역이 정해져 있다고 추정된다.
2025/11/7 17:09 다른 와지에 도착. 다른 S17α-α가 존재하지 않음. 행동을 시작할 때까지 대기.
2025/11/7 18:42 대상의 낙하를 확인. S17α-α는 위를 향한 채 뒤집어지고, 복부에 대상이 올라탄다. 접근하니 S17α-α의 복부에는 대상의 개구부와 유사한 기관이 있으며, 그 내부에 대상이 정액을 흘려 넣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잠시 후 대상은 복부에서 내려와, 강력한 양사 방사의 발생과 동시에 소실되었다. S17α-α는 위를 향한 채 뒤집어져 있음. 관찰을 유지.
2025/11/7 20:15 복부가 약간 융기함을 확인. 개구부는 닫혀 있다.
2025/11/7 21:56 복부가 오망성 모양으로 융기함. 개구부에서는 체액이 새어 나온다.
2025/11/7 23:24 개구부가 크게 열리고, 미력한 양상 방사가 발생함. 복부가 정상 상태로 돌아감. S17α-α는 기절하였다. 소형 로봇은 관찰을 계속하고 있다.
2025/11/8 03:21 지구에서 확인된 것보다 상당히 큰 mass의 형성을 확인. 오군은 관측을 계속하고 있다.
부칙 4: 2026/6/3에 S17α성의 mass가 붕괴하였다. 소실된 개체는 지난번의 것과는 다르게 1마리가 아니라 53마리였다. 중심 개체에 설치된 장치는 지구의 궤도 위에서 위치정보를 발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같이 한 번에 대량의 개체가 순간 이동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대응 기준을 3으로 올리고, S17α성 주변 개체의 청산을 목표로 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청산에는 은폐할 필요가 존재하지 않기에, 고도의 기술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교전에 있어서 무장을 탑재한 무인기가 GOC 기술로 S17α성에 향하는 것은 현재에도 불확정한 요소가 내포되어 있기에 프톨레미 분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부칙 5: 프톨레미 분과에 의한 요구도 있어 2028/9/21에 GOC-재단 간 우주협정2의 개정을 실시하였다. 개정내용은 정보 취급의 중요 사항이나 기술 공유에 관해서이다. 재단 외우주 지부와 GOC 성간 분과는 큰 충돌 없이 활동하고 있기에 문제없이 집행되었다. 초광속 항행을 포함한 기적학을 이용하는 특수기술은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태양계 외 유인항행선에 관해서는 GOC가 훨씬 빠르게 완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협정서의 전문은 부속서류에 기재되어 있다.
부칙 6: 태양계 외 무인항행선 산드라サンドラ가 완성되어, 대상의 청산이 2030/4/5에 실시되었다. 대형 폭탄의 일제 투하에 따라 완료되어, 식량원을 잃은 S17α-α가 남하하여 온난한 지역으로 향하는 모습이 2주일 후인 4/21에 확인되었다. 잔존 개체의 청산을 위하여 무인탐색기는 관찰을 계속하고 있다.
프톨레미 기록
제213지구 병참관 윌리엄 루크ウィリアム・ルーク가 작성한 파일 중 AOD(파괴공작에 사용된 군비Armaments Used in Destruction) 보고서
병참감부-AOD-1505 번호 지정명 제목 수량 1 TanGenT-ESB GOC태양계 외 무인항행기 산드라サンドラ 1 비고: 이 임무가 첫 번째 항행이었지만 두드러진 문제 없이 항행을 완료하였다. 2 +1Gen-DBU 폭격 유닛-12-S-대형 확산 폭탄 150 비고: 위협존재를 폭격하여 청산하는 것은 성공했지만, 과도한 양이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부칙 7: 2031/2/3에 S17α성에서 약 1m 정도인 개체의 출현이 확인되었다. 청산 후 현재까지 지상에서 발생했다고 보이는 소형 개체가 확인된 적도 있었지만, 이 정도의 대형 개체는 처음이다. 무인탐색기에 따른 검사에서는 강한 마술적 흔적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 개체는 또 다른 행성에서 공간이동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위협을 근절하기 위해서라도 지구에서 다시 mass가 형성될 경우에 대비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