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古)다에바어

고다에바어 개론


또는

IntroductionToOldDaevite.png

다에바어문학에 관한 비고

다에바인들이 구사한 언어에 대한 연구는 역사언어학 분야에 있어서 유일무이하게 독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의 언어를 비롯한 다에바 문화의 여러 양상은 우리에게 알려진 다른 모든 문화들과 완벽히 독립적으로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고다에바어는 주변의 다른 모든 언어와 현저하게 다르며, 고립어1로 분류된다.

그러나 많은 고립어들은 근현대 언어학의 연구대상이 되어 그 전모가 밝혀져 있다. 다에바어와 다른 언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시간이 흐름에 따른 그 언어의 진화의 노정이다. 다에바 문화의 다른 양상과 마찬가지로, 다에바어는 그 긴 역사2 동안 변화나 발산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역사적인 다에바 들은 일반적으로, 다소 자의적이기는 하지만, 다음 네 언어로 분류된다.

고다에바어Old Daevite 우리에게 알려진 가장 오래된 다에바어 사료들을 비롯하여, 기원전
1000년경 주변의 사르킥 국가가 멸망 및 합병될 때까지 그 이전의 모든
명문들이 여기에 속한다.
중다에바어Middle Daevite 기원전 1000년부터 기원후 200년경 다에바 국가가 분열될 때까지의
다에바어 사료들이 여기에 속한다.
후다에바어Late Daevite 기원후 200년부터 기원후 1300년경 독립세력으로서 다에바인이 끝장
났을 때까지의 다에바어 사료들이 여기에 속한다.
신다에바어Neo-Daevite 독립세력으로서 다에바인이 끝장난 이후 다에바어를 모어로 삼는 잔여
집단들에 의해 작성된 모든 다에바어 사료들이 여기에 속한다.

본 문건은 이 중 특히 고다에바어에 관한 현대적 개론을 정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기 사르킥교와 하 변칙문화군에 대한 기록이 고다에바어로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다에바어 중 고다에바어가 재단의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다.

음운론

고다에바어는 사어기 때문에, 정확한 발음은 알 수 없다. 그러나 다에바어 낱말들을 다른 언어들로 번역한 것으로부터 이하 음운들을 이론적으로 재구할 수 있었다.

홀소리(모음)

전설 후설
i /i/ u /u/
e /e/ o /o/
a /a/ á /ɒ/

이중모음3은 다음과 같이 입증되었다.

시작 a 시작 e 시작 i
끝 u au /a͡u/ ue /u͡e/
끝 o ao /a͡o/ io /i͡o/
끝 á /e͡ɒ/ /i͡ɒ/
끝 e ae /a͡e/
끝 i ai /a͡i/

닿소리(자음)

순음 치경음 후치경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비강음 m /m/ n /n/
파열음 p /p/ b /b/ t /t/ d /d/ k /k/ g /g/
방출음 /tʼ/ /kʼ/
마찰음 f /ɸ/ s /s/ z /z/ š /ʃ/ x /x/ h /ħ/
접근음 v /ʋ/ r /ɹ/
설측음 l /l/

음소배열론

고다에바어는 다음 음소배열규칙이 적용된다.

  • 최대음절은 CVCC.
  • 장자음4은 비강음과 파열음에만 허용된다.
  • 방출음은 자음군에 섞일 수 없다. 자음군에 방출음이 있다면 그 닿소리는 탈락한다.
  • 무성 비파열음은 어말에서 유기음이 된다.

문법론

문법성

시베리아 지역의 언어 치고는 매우 이례적으로, 고다에바어는 빈틈없이 철저한 문법성gender 체계를 가졌다. 이 체계는 동사활용 뿐 아니라 복수형에도 영향을 미쳤다. 다에바어의 문법성 체계는 다음과 같다.

지도Leading / 개시형Open-Form 개념Conceptual / 종결형Coda-Form 유생Animate / A형A-Form 무생Inanimate / B형B-Form
지배자, 지도자, 물질계를 추동하는 힘 등에 대부분 사용되고, 다른 명사들도 문장의 주어가 될 때 가끔 사용된다. 이 성의 명사들은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개 마지막 음절에 저모음(á 또는 a)이 포함된다. 관념, 종교적 개념, 숫자, 그 밖에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없는 것들에 사용된다. 이 성의 명사들은 대다수가 비강음 또는 파열음으로 끝난다. 일정 수준으로 살아 있다고 할 수 있는 물리적 객체들, 예컨대 인간과 동식물에 대하여 사용된다. 이 성의 명사들은 다른 성의 명사들과 구분할 수 있을 만한 공통점이 거의 없다. 살아 있지 않은 물리적 객체들, 예컨대 바위나 도구, 각종 물질에 대해 사용된다. 이 성의 명사들은 다른 성의 명사들과 구분할 수 있을 만한 공통점이 거의 없다.
예시:
Potniá [포트니ᄋᆞ] "노예 소유주"
Urdal [우르달] "국왕"
예시:
Tivik [티비크] "하나"
Hueg [후에그] "영혼"
예시:
Luex [루에흐] "어린이"
Hiz [히즈] "나무"
예시:
Hiázai [히ᄋᆞ자이] "혀"5
Šeg [셰그] "바위"

명사 및 형용사의 어형변화

고다에바어 문법에는 수가 세 가지 있다. 단수, 복수, 그리고 흥미롭게도 그 일대의 다른 언어들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영수가 그것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단수Singular 복수Plural 영수Null
Ḳast Ḳastau Mazḳast
"한 개의 과일" "많은 과일" "없는 과일"

단수는 언제나 무표어형이다. 그러나 복수 및 영수 명사는 수와 성을 밝히는 접사로써 유표하다. 그 명사를 수식하는 모든 형용사도 마찬가지다. 이 어형번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지도성 개념성 유생성 무생성
단수
복수 -(t)a6 -(t)in -(t)en (t)au
영수 maz-

한편, 소유관계는 소유자의 인칭에 걸리는 전혀 별개의 접사들로써 유표하다. 만약 소유보어가 복수명사일 경우, 아래 접사들을 위의 복수접사에 또 붙임으로써 유표하다.

1인칭 2인칭 3인칭
단수 -fai -lok -sae
복수 -fuet -láket -saed
영수 -šu

마지막으로, 단순형용사화접두사 á- 가 있다. 아무 명사에 이것을 사용하면 모두 형용사가 된다. 형용사화된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가 있을 경우, 그것도 이 접두사로써 유표하다. 예를 들면 이렇다.

명사 형용사형
Kaes [카에스] "산" Ákaes [ᄋᆞ카에스] "산악의"
Disat [디사트] "셋" Ádisat [ᄋᆞ디사트] "셋째"

파열음변이

고다에바어에는 독특한 파열음변이 체계가 있는데, 이는 화자와 청자의 상대높임에 따라 결정된다. 이 체계는 단순한 변이음으로 생각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이 언어의 문법론적 핵심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이 변이가 다에바 문자에도 반영되어 있음으로써 증거된다.

다에바어의 파열음변이는 청자가 화자보다 현저히 높거나 낮은 사회계층에 속할 때, 파열음 전체를 높고 낮은 집합으로 이동시켜 그 변한 발음을 구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두 집합을 각각 고사용역과 저사용역이라고 하며, 중립적인 기본형을 기저사용역이라 한다.

기저사용역Base Register 고사용역High Register 저사용역Low Register
b p b
d t d
g k g
p p b
t d
k g
t
k

예문을 보자. 다음 문장은 "국왕이 문을 닫았다"라는 뜻이다.

Hios satoku urdal [히오스 사토쿠 우르달]

이것이 고사용역에서는 다음과 같고

Hios saṭoḳu urtal [히오스 사토쿠 우르탈]

저사용역에서는 다음과 같아진다.

Hios sadogu urdal [히오스 사도구 우르달]

동사활용

고다에바어의 동사활용은 다소 복잡하여, 모든 동사가 수, 시제, 인칭, 성에 따라 변화하는 50가지 활용형을 갖는다.

고다에바어에는 미래시제와 비미래시제 이렇게 두 개의 시제가 있다. 비미래시제는 무표이며, 미래시제는 유생성, 개념성, 지도성에서는 접미사 -ge 로써 유표하다. 무생성에서는 접미사 -ke 를 사용한다.

두 시제 모두 영수는 접두사 maz- 로써 유표하다. 영수에는 인칭과 성의 정보는 함축되지 아니한다.

동사의 인칭변화 정보는 동사에 붙는 접두사의 첫 번재 닿소리에 함축되어 있다. 1인칭의 경우에는 이 닿소리가 t 이고, 2인칭과 3인칭은 각각 x 와 s 다.

접두사의 홀소리는 인칭과 수에 의해 결정된다. 1인칭과 2인칭에서는 단수일 경우 i 를, 복수일 경우 u 를 사용한다. 3인칭은 단수는 a, 복수는 á 를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문법성은 각기 다른 방법으로 표시된다. 유생성은 단수 1인칭에서는 아무 접두사를 붙이지 않으며, 다른 활용형에서는 무표 접두사를 붙인다. 무생성은 무표 접두사를 붙이며, 동사 기본형의 첫 번재 닿소리가 가능하다면 이중화된다.

개념성의 경우 접두사 끝에 r 이 추가된다. 지도성의 경우 접두사가 무표이며 동사 기본형의 첫 번재 홀소리가 더 저모음 방향으로 이동하는 변이를 겪는다. a 와 á는 가장 낮아서 더 낮아질 수 없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중모음도 마찬가지다.

기본 홀소리 저모음화된 형태
i e
u o
e a
o á
a a
á á

이해를 돕기 위해 동사 nuxe ("먹다")의 활용형들과 그 번역을 이하에 기재한다.

Nuxe [누헤] "그(녀)가 먹었다", 또는 "그(녀)가 먹는다"
Nuxege [누헤게] "그(녀)가 먹을 것이다"
Tinnuxeke [틴누헤케] "그것이 먹을 것이다"
Maznuxe [마즈누헤] "아무도 안 먹었다" 또는 "아무도 안 먹는다"
Maznuxege [마즈누헤게] "아무도 안 먹을 것이다"

통사론

고다에바어의 기본 어순은 Object-Verb-Subject였다. 형용사는 언제나 수식하는 명사 앞에 왔다. 명사의 격변화가 전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어순은 극단적으로 융통성 없이 엄격하다. 여기서 일탈하는 사료는 거의 희박하며, 주로 하층계급에서 작성한 짧은 글에서나 그런 일탈이 나타난다.

또한 어떤 경우에라도 지도성 명사를 말할 때는 그것 명사가 주어 위치 이외의 장소에 위치하는 것 자체를 불경하게 여겼다는 것도 특기할 만하다. 이것은 다에바인들이 지도성의 인칭이나 자기들이 인정하는 힘, 그리고 인정하지 않는 힘을 기술하는 방식에도 반영되어 있다.

고다에바어는 어떠한 형태의 지정사7도 완전히 결여되어 있다. 두 명사 사이의 등가성을 밝힐 때는 단순히 한 명사를 목적어에, 다른 한 명사를 주어에 위치시켜서 말했다. 이런 문장에는 시제의 정보가 없기 때문에, 이 관계가 시간에 따라서 어떠한 변화가 있다면 그것은 다른 문장을 통해 특정하여 부연해야 했다.

고다에바어는 후치사를 이용했다. 위치구문은 일반적으로 형용사처럼 주어 앞에 위치했다.

어휘론

대명사

지도성 개념성 유생성 무생성
1인칭 단수 tai [타이] nau [나우] tau [타우]
2인칭 단수 ṭaḳá [타ᄏᆞ] namḳa [남카] tuza [투자]
3인칭 단수 tintau [틴타우] naxiá [나히ᄋᆞ] taniá [타니ᄋᆞ] surau [수라우]
1인칭 복수 taiai [타이아이] xunau [후나우] xutá [후ᄐᆞ]
2인칭 복수 ḳuṭa [쿠타] xunma [훈마] xuxe [후헤]
3인칭 복수 tixtiá [티히티ᄋᆞ] naxau [나하우] taosa [타오사] suxrau [수흐라우]
영수 mazšu [마즈슈]

영수대명사는 주로 화자가 알지 못하는 명사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것은 의문문을 만들 때 특히 유용했다. 다만 대명사가 본질적으로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고다에바어의 의문문은 오로지 명사로만 대답할 수 있었으며, 애초에 질문 자체도 그 제한에 적절히 맞추어 표현되어야 했다. 다음과 같은 예문을 보자.

Mazšu xinuxe tuza? [마즈슈 히누헤 투자?]
무엇을 드셨습니까?8

지시대명사9는 아무 대명사에 지시접미사 -ne 를 붙임으로써 만들 수 있다.

명사

Ṭao [타오] 인신공양 (A Human Sacrifice)
Giáh [기ᄋᆞ흐] 사람 한 명 (A Person)
Raex [라에흐] 종교적 희생 (A Religious Sacrifice)
Teá [테ᄋᆞ] 짐승, 포식동물 (Beast, Predatory Animal)
Reg [레그] 새 (Bird)
Mašai [마샤이] 피 (Blood)
Kae [카에] 신체 (Body)
Adv [아드브] 서책 (Book)
Xiábbeá [히ᄋᆞ브비ᄋᆞ] 경계 (Border)
Puev [푸에브] 청동 (Bronze)
Laohor [라오호르] 원인, 사실, 이성 (Cause, Fact, Reason)
Luex [루에흐] 아이 (Child)
Nueh [누에흐] 시민 (Citizen)
Pádn [ᄑᆞ든] 도시 (City)
Daev [다에브] 다에바 (A Daeva)
Hezhum [헤즈훔] 황량, 파괴 (Desolation, Destruction)
Vaduk [바둑] 영토, 주권 (Dominion, Sovereignty)
Hios [히오스] 문 (Door)
Aiktue [아이크투에] 큰 국가, 제국 (Large State, Empire)10
Xaehn [하에흔] 끝 (End)
[ᄇᆞ] 아버지 (Father)
Dauhk [다우흐크] 불 (Fire)
Xaof [하오프] 꽃 (Flower)
Ḳast [카스트] 과일 (Fruit)
Peá [페ᄋᆞ] 신 (God, Deity)
Zue [주에] 풀 (Grass)
Ṭaulo [타울로] 무덤 (Grave)
Teán [테ᄋᆞᆫ] 머리 (Head)
Taef [타에프] 심장 (Heart)
Vaon [바온] 가정 (Home)
Kiáth [키ᄋᆞ트흐] 말 (Horse)
Urdal [우르달] 국왕, 군주 (King, Monarch)
Ner [네르] 결핍 (Lack)
Maopt [마오프트] 잎 (Leaf)
Kifenn [키펜느] 갈망 (Longing)
Vam [뱀] 어머니 (Mother)
Kaes [카에스] 산 (Mountain)
Saro [사로] 달 (Moon)
Tivik [티비크] 하나 (One)
Aidr [아이드르] 궁궐 (Palace)
Kao [카오] 하천 (River)
Baox [바오흐] 길 (Road)
Iohk [이오흐크] 길 (Road)
Nelk [넬크] 사르킥인 (Sarkite)
Ḳun [쿤] 노예 (Slave)
Deág [데ᄋᆞ그] 병사 (Soldier)
Hueg [후에그] 영혼, 하급 신령 (Spirit, Lesser Deity)
Geát [게ᄋᆞ트] 돌 (Stone)
Daošre [다오슈레] 도둑, 침입자 (Thief, Intruder)
Hiázai [히ᄋᆞ자이] 혀 (Tongue)
Hisp [히스프] 나무 (Tree)
Tiálḳ [티ᄋᆞᆯ크] 전쟁 (War)
Ṭuekm [투에큼] 무기 (Weapon)
Aint [아인트] 상처 (Wound)
Ba [바] 진노 (Wrath)

동사

Tiḳá [티ᄏᆞ] 전투하다 (To Battle)
Tema [테마] 할 수 있게 하다 (To Be Able to)
Paba [파바] 진노하다 (To Be Wroth)
Pove [포베] 부르다, 일컫다 (To Call, to Term)
Toku [토쿠] 닫다 (To Close)
Dáṭe [ᄃᆞ테] 지휘하다 (To Command)
Mauš [마우슈] 피를 뒤집어쓰다 (To Cover In Blood)
Hele [헬레] 식히다 (To Cool)
Tuṭá [투ᄐᆞ] 썰다 (To Cut)
Hezu [헤주] 파괴하다 (To Destroy)
Musu [무수] 죽다 (To Die)
Tiha [티하] 하다 (To Do)
Nuxe [누헤] 먹다 (To Eat)
Ḳofá [코ᄑᆞ] 노예로 삼다 (To Enslave)
Pone [포네] 알다 (To Know)
Duhau [두하우] 불붙이다 (To Light On Fire)
Xáṭe [ᄒᆞ테] (무장한 군대로) 가두행진하다 (To March (an armed force))
Giho [기호] 강제하다, 시키다 (To Force, to Make a Thing Do Something)
Báli [ᄇᆞ리] 열다 (To Open)
Ḳefe [케페] 놓다 (To Place)
Naḳa [나카] 다스리다 (To Rule)
Ganu [가누] 맞추다, 표하다 (To Set, to Mark)
Raxka [라흐카] 희생하다 (To Sacrifice)
Gusá [구ᄉᆞ] 보내다 (To Send)
Hizá [히ᄌᆞ] 말하다 (To Speak)
Ṭofi [토피] 쑤시다, 치다 (To Stab, to Strike)

형용사

Iárx [이ᄋᆞ르흐] 검은색이다 (Black)
Tairx [타이르흐] 파란색이다 (Blue)
Liomao [리오마오] 멀다 (Far)
Murx [무르흐] 녹색이다 (Green)
Buelae [부엘라에] 오래된, 고대의 (Old, Ancient)
Ḳuešae [쿠에슈아에] 진실된, 사실적인 (Real, True)
Vihe [비헤] 빛나다 (Shining)
Aifš [아이프슈] 높은, 위대한 (High, Great)
Baih [바이흐] 약하다 (Weak)
Taiš [타이슈] 흰색이다 (White)

기능어

Ṭá [ᄐᆞ] 위치표현 (In, At)
Mašeza [마슈에자] 그러나, 하지만 (But, However)
Iob [이옵] 더 (More)
Šue [슈유에] 가장 (Most)
Meš [메슈] 부정표현 (No, None, Not)
[에ᄋᆞ] 방향표현 (Towards)
Maixe [마이헤] 여기에 (Here)
Kut [쿠트] ~와, ~를 가진 (With)

문자

고다에바어의 문자는 아부기다11이며, 위에서 아래로 쓰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줄을 바꾸는 좌종서였다. 이것은 이 문자가 원래 나무에 새겨 쓰면서 발달되었기 때문으로, 그 기록매체가 생명체였기 때문에 오늘날 연구할 만한 명문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닿소리 표기

닿소리는 위에서 아래로 그은 줄을 따라 새겨졌으며, 가로로 금을 찍어 낱말분리문자로 삼아서 낱말을 구분했다.

낱말분리문자 WordSeparator.png

닿소리와 로마자의 비교표는 다음과 같다.

p Consonant_P.png
b Consonant_B.png
t Consonant_T.png
d Consonant_D.png
Consonant_Ṭ.png
k Consonant_K.png
g Consonant_G.png
Consonant_Ḳ.png
m Consonant_M.png
n Consonant_N.png
s Consonant_S.png
z Consonant_Z.png
š Consonant_Š.png
f Consonant_F.png
x Consonant_X.png
h Consonant_H.png
v Consonant_V.png
r Consonant_R.png
l Consonant_L.png

홀소리 표기

홀소리는 세 가지 기호를 사용해 표기했다. 각각의 기호는 소리의 고저에 대응되며, 닿소리 기준선을 가운데 두고 좌우 양쪽 중 한 쪽에 표기했다. 이 특징적인 표기법으로 고다에바어는 6개 기본 홀소리를 모두 쉽게 표기할 수 있었다.

i Vowel_I.png
e Vowel_E.png
a Vowel_A.png
u Vowel_U.png
o Vowel_O.png
á Vowel_Á.png

홀소리로 시작하는 낱말의 경우, 그 낱말 바로 앞의 분리문자에 표기한다.

마지막으로, 이중모음을 표기할 때는 두 개의 홀소리 기호가 하나의 닿소리에 함께 표기된다. 이중모음을 이루는 두 홀소리가 닿소리 기준선을 사이에 두고 같은 방향에 표기된다면 그냥 겹쳐서 표기하고, 서로 다른 방향에 표기된다면 긴 가로줄을 가로질러서 연결한다.

이중모음의 끝소리가 해당 음절의 종결부였다면, 뒤이어 올 닿소리의 중성 홀소리가 원래 차지했어야 할 자리에 이중모음의 끝소리를 찍는다. 뒤이어 오는 닿소리가 별개 음절의 초성이라면 아래로 밀어내린다.

예문

두브타엔Duvtaen의 빈 무덤에서 발견된 텍스트. 두브타엔은 다에바 문명 분열시대의 다에본의Daevonian 장군으로 생각된다.

Ádaevavaon deág tai. Ṭuekmsae tai. Duvtaen tai. Ápádnfuet luex xipove tai.

Tiálḳ eá tai sagosá pádnfuet. Teátenen tihazu.12 Komitenen tiḳáfá.

Tiálḳ ṭá timosu tai. Maixe ṭaulofai sákefe deágenfai. Daošre saṭáfige ápádnfuet ba.

나는 다에본의 군인이다. 나는 그것의 무기. 나는 두브타엔. 나는 우리 도시의 아이라고 (너희에게) 불린다.

우리 도시는 나를 전쟁에 보냈다. 나는 많은13 짐승들을 파괴했다. 나는 많은 코미인Komians14들을 노예로 삼았다.

나는 전쟁에서 죽었다. 내 병사들이 여기를 내 무덤으로 삼았다. 누구든 간에 침입자에게는 우리 도시의 진노가 닥치리라.




🈲: SCP 재단의 모든 컨텐츠는 15세 미만의 어린이 혹은 청소년이 시청하기에 부적절합니다.
따로 명시하지 않는 한 이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