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UnifrakturCook:700&display=swap');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Merriweather&display=swap');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Special+Elite'); /* Masquer le titre */ #page-title { display: block; } /* Grand titre : 1er = Texte titre 2e = Contour, ombre */ #header h1 a::before { content: ; font-family: chomsky;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color:black; } #header h1 a { display: none; margin: 0; padding: 0px 0 0px; line-height: 0px; max-height: 0px;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ransparent; font-family: Merriweather; font-size: 0%; text-decoration: none; text-shadow: none; letter-spacing: 0.9px; } #header h2 span::before { content: ; color:black; } #header h2 a { display: none; margin: 0; padding: 0px 0 0px; line-height: 0px; max-height: 0px;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ransparent; font-family: 'Special Elite', cursive; font-size: 0%; text-decoration: none; text-shadow: none; letter-spacing: 0.0px; } h2 { font-family: 'Special Elite', cursive; font-size: 17pt; color:black; } /* LOGO */ #header { height: 200px; padding-bottom: 0px; /* FOR MENU */ position: relative; background: url( BLANC ) } /* BANNIÈRE */ div#container-wrap { background: url(http://fondationscp.wdfiles.com/local--files/theme%3Asous-le-monde/body-bg.png) top left repeat-x; } body { background-position: top center; background-repeat: repeat; background-color: white; color: black; } /* FOND DE PAGE */ body { color:black; background-image: url( BLANC ); font-family: Merriweather; } /* TITRE DE LA PAGE */ #page-title { display: block; font-family: 'Merriweather', cursive; font-style: italic; color: #000; font-size: 200%; padding: 35px 0 10px; position: relative; } /* HIDE THE HEADER TEXT */ #header h1 a { display: block; margin: 0; padding: 0px 0 0px; line-height: 0px; max-height: 0px; color: #00003D; background: transparent; font-family: Akashi, Arial, sans-serif; font-size:0%; text-decoration: none; text-shadow: 3px 3px 5px #000; letter-spacing: 0.9px; } #header h2 span { display: block; margin: 0; padding: 0px 0; line-height: 0px; max-height: 0px; font-weight: bold; color: #f0f0c0; font-family: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0%; text-shadow: 1px 1px 1px #000; text-shadow: 1px 1px 1px rgba(0,0,0,.8); } /* BARRE DE RECHERCHE */ #search-top-box-input, #search-top-box-input:hover, #search-top-box-input:focus {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 transparent; display: none; font-size: 0pt; padding: 0px; } #search-top-box-input:hover, #search-top-box-input:focus { border: solid 0px black; padding: 40px; color: black; display: none; font-family: Merriweath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box-shadow: inset 0px 0px 0px rgba(0,0,0,.8); } #search-top-box-form input[type=submit] { display: none; background: transparent; } #search-top-box-form input[type=submit]:hover, #search-top-box-form input[type=submit]:focus { background: transparent; display: none; } /* TOP BARRE */ #top-bar { position: absolute; z-index: 50; top: 140px; height: 21px; line-height: 18px; padding-top: 93px; z-index: 20; font-size: 90%; } #top-bar ul { float: right; } #top-bar a { color: #fff; background: transparent; } #top-bar ul li { border: 0; } #top-bar ul li ul { border: solid 1px transparent; box-shadow: 0 2px 6px rgba(0,0,0,.5); border-top: 0; } #top-bar ul li a { border-left: solid 1px rgba(64,64,64,.1); border-right: solid 1px rgba(64,64,64,.1); text-decoration: none; padding-top: 10px; padding-bottom: 10px; line-height: 1px; max-height: 1px; overflow: hidden; } #top-bar ul li.sfhover a, #top-bar ul li:hover a { background: #fff; color: #414446; border-left: solid 1px rgba(64,64,64,1); border-right: solid 1px rgba(64,64,64,1); } #top-bar ul li.sfhover ul li a, #top-bar ul li:hover ul li a { border-width: 0; width: 150px; border-top: 1px solid #ddd; line-height: 160%; height: auto; max-height: none; padding-top: 0; padding-bottom: 0; } #top-bar ul li.sfhover a:hover, #top-bar ul li:hover a:hover { background: #fff; color: #414446; text-decoration: none; } #top-bar ul li ul { border-width: 0 1px 1px 1px; width: auto; } #top-bar ul li ul li, #top-bar ul li ul li.sfhover, #top-bar ul li ul li, #top-bar ul li ul li:hover { border-width: 0; } #top-bar ul li ul li a { border-width: 0; } #top-bar ul li ul a, #top-bar a:hover { color: #a01; } /* SIDEBAR */ #side-bar { background: transparent; padding-top: 80px; } #side-bar .side-block { border: 1px double #000; box-shadow: 0 0px 0px rgba(21, 21, 21, 1);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0px; } #side-bar .heading { color: #BC0E12; font-size: 120%; border-bottom: solid 1px #00003D; } #side-bar img { filter: hue-rotate(70deg); -webkit-filter: hue-rotate(70deg); } #side-bar div.side-block:nth-child(7) > div:nth-child(1) > div:nth-child(1) img { filter: none; -webkit-filter: none; } /* MENU OUVERTURE SIDEBAR */ open-menu a { border: 0.2em solid #003333!important; background-color: lightgrey!important; color: #003333!important; } /* MOBILE SIDEBAR */ @media (max-width: 767px) { #side-ba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 .open-menu a { border: 0.2em double white!important; background-color: #807665!important; color: white!important; } } /* NOM UTILISATEUR */ #login-status { color: #990000; font-family: 'Special Elite', cursive; font-size: 100%; z-index: 30; display: none; } #login-status a { background: transparent; font-family: 'Special Elite', cursive; font-size: 100%; color: black; border: none; } #login-status ul a { color: black; font-family: 'Special Elite', cursive; font-size: 100%; background: transparent; background-color: transparent; } #login-status ul a:hover{ color: black; font-family: 'Special Elite', cursive; font-size: 100%; } #account-topbutton { background: transparent; color: #000; } /* Adjust Mobile Image Size */ @media (max-width: 321px) { div#container-wrap { background: url(http://fondationscp.wdfiles.com/local--files/theme%3Asous-le-monde/body-bg-portable.png) top left repeat-x; } #top-bar { position: absolute; z-index: 50; top: 140px; height: 21px; line-height: 18px; padding: 0px; z-index: 20; font-size: 90%; } #page-title { display: block; font-family: 'Merriweather', cursive; font-style: italic; color: #000; font-size: 200%; padding: -30px 0px 0px 0px; position: relative; padding-top: -50px; margin-top: -70px; } #side-bar { background: transparent; padding-top: 0px; } } @media (min-width: 322px) and (max-width: 424px) { div#container-wrap { background: url(http://fondationscp.wdfiles.com/local--files/theme%3Asous-le-monde/body-bg-portable.png) top left repeat-x; } #top-bar { position: absolute; z-index: 50; top: 140px; height: 21px; line-height: 18px; padding: 0px; z-index: 20; font-size: 90%; } #side-bar { background: transparent; padding-top: 0px; } #page-title { display: block; font-family: 'Merriweather', cursive; font-style: italic; color: #000; padding-top: -50px; margin-top: -70px; } } @media (min-width: 425px) and (max-width: 767px) { div#container-wrap { background: url(http://fondationscp.wdfiles.com/local--files/theme%3Asous-le-monde/body-bg-portable.png) top left repeat-x; } #top-bar { position: absolute; z-index: 50; top: 140px; height: 21px; line-height: 18px; padding: 0px; margin-bottom: -50px; z-index: 20; font-size: 90%; } #side-bar { background: transparent; padding-top: 0px; } #page-title { display: block; font-family: 'Merriweather', cursive; font-style: italic; color: #000; padding-top: -50px; margin-top: -70px; } }
@font-face { font-family: 'RIDIBatang'; src: url('https://cdn.jsdelivr.net/gh/projectnoonnu/noonfonts_twelve@1.0/RIDIBatang.woff') format('woff');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font-face { font-family: 'Special Elite Centennial'; font-style: normal; font-weight: 400; font-display: swap; src: url(https://fonts.gstatic.com/s/specialelite/v18/XLYgIZbkc4JPUL5CVArUVL0ntnAOSA.woff2) format('woff2'); unicode-range: U+0000-00FF, U+0131, U+0152-0153, U+02BB-02BC, U+02C6, U+02DA, U+02DC, U+2000-206F, U+2074, U+20AC, U+2122, U+2191, U+2193, U+2212, U+2215, U+FEFF, U+FFFD; } @font-face { font-family: 'Special Elite Centennial'; src: url('https://cdn.jsdelivr.net/gh/projectnoonnu/noonfonts_2206-02@1.0/ChosunCentennial.woff2') format('woff2'); unicode-range: U+AC00-D7A3;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 Masquer le titre */ #page-title { display: block; } /* Grand titre : 1er = Texte titre 2e = Contour, ombre */ #header h1 a::before { content: ; font-family: chomsky;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color:black; } #header h1 a { display: none; margin: 0; padding: 0px 0 0px; line-height: 0px; max-height: 0px;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ransparent; font-family: 'RIDIBatang'; font-size: 0%; text-decoration: none; text-shadow: none; letter-spacing: 0.9px; } #header h2 span::before { content: ; color:black; } #header h2 a { display: none; margin: 0; padding: 0px 0 0px; line-height: 0px; max-height: 0px;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ransparent; font-family: 'Special Elite Centennial', cursive; font-size: 0%; text-decoration: none; text-shadow: none; letter-spacing: 0.0px; } h2 { font-family: 'Special Elite Centennial', cursive; font-size: 17pt; color:black; } /* LOGO */ #header { height: 200px; padding-bottom: 0px; /* FOR MENU */ position: relative; background: url( BLANC ) } /* BANNIÈRE */ div#container-wrap { background: url(http://fondationscp.wdfiles.com/local--files/theme%3Asous-le-monde/body-bg.png) top left repeat-x; } body { background-position: top center; background-repeat: repeat; background-color: white; color: black; } /* FOND DE PAGE */ body { color:black; background-image: url( BLANC ); font-family: 'RIDIBatang'; } /* TITRE DE LA PAGE */ #page-title { display: block; font-family: 'RIDIBatang', cursive; font-style: italic; color: #000; font-size: 200%; padding: 35px 0 10px; position: relative; } /* HIDE THE HEADER TEXT */ #header h1 a { display: block; margin: 0; padding: 0px 0 0px; line-height: 0px; max-height: 0px; color: #00003D; background: transparent; font-family: Akashi, Arial, sans-serif; font-size:0%; text-decoration: none; text-shadow: 3px 3px 5px #000; letter-spacing: 0.9px; } #header h2 span { display: block; margin: 0; padding: 0px 0; line-height: 0px; max-height: 0px; font-weight: bold; color: #f0f0c0; font-family: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0%; text-shadow: 1px 1px 1px #000; text-shadow: 1px 1px 1px rgba(0,0,0,.8); } /* BARRE DE RECHERCHE */ #search-top-box-input, #search-top-box-input:hover, #search-top-box-input:focus {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 transparent; display: none; font-size: 0pt; padding: 0px; } #search-top-box-input:hover, #search-top-box-input:focus { border: solid 0px black; padding: 40px; color: black; display: none; font-family: 'RIDIBatang'; background-color: transparent; box-shadow: inset 0px 0px 0px rgba(0,0,0,.8); } #search-top-box-form input[type=submit] { display: none; background: transparent; } #search-top-box-form input[type=submit]:hover, #search-top-box-form input[type=submit]:focus { background: transparent; display: none; } /* TOP BARRE */ #top-bar { position: absolute; z-index: 50; top: 140px; height: 21px; line-height: 18px; padding-top: 93px; z-index: 20; font-size: 90%; } #top-bar ul { float: right; } #top-bar a { color: #fff; background: transparent; } #top-bar ul li { border: 0; } #top-bar ul li ul { border: solid 1px transparent; box-shadow: 0 2px 6px rgba(0,0,0,.5); border-top: 0; } #top-bar ul li a { border-left: solid 1px rgba(64,64,64,.1); border-right: solid 1px rgba(64,64,64,.1); text-decoration: none; padding-top: 10px; padding-bottom: 10px; line-height: 1px; max-height: 1px; overflow: hidden; } #top-bar ul li.sfhover a, #top-bar ul li:hover a { background: #fff; color: #414446; border-left: solid 1px rgba(64,64,64,1); border-right: solid 1px rgba(64,64,64,1); } #top-bar ul li.sfhover ul li a, #top-bar ul li:hover ul li a { border-width: 0; width: 150px; border-top: 1px solid #ddd; line-height: 160%; height: auto; max-height: none; padding-top: 0; padding-bottom: 0; } #top-bar ul li.sfhover a:hover, #top-bar ul li:hover a:hover { background: #fff; color: #414446; text-decoration: none; } #top-bar ul li ul { border-width: 0 1px 1px 1px; width: auto; } #top-bar ul li ul li, #top-bar ul li ul li.sfhover, #top-bar ul li ul li, #top-bar ul li ul li:hover { border-width: 0; } #top-bar ul li ul li a { border-width: 0; } #top-bar ul li ul a, #top-bar a:hover { color: #a01; } /* SIDEBAR */ #side-bar { background: transparent; padding-top: 80px; } #side-bar .side-block { border: 1px double #000; box-shadow: 0 0px 0px rgba(21, 21, 21, 1);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0px; } #side-bar .heading { color: #BC0E12; font-size: 120%; border-bottom: solid 1px #00003D; } #side-bar img { filter: hue-rotate(70deg); -webkit-filter: hue-rotate(70deg); } #side-bar div.side-block:nth-child(7) > div:nth-child(1) > div:nth-child(1) img { filter: none; -webkit-filter: none; } /* MENU OUVERTURE SIDEBAR */ open-menu a { border: 0.2em solid #003333!important; background-color: lightgrey!important; color: #003333!important; } /* MOBILE SIDEBAR */ @media (max-width: 767px) { #side-ba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 .open-menu a { border: 0.2em double white!important; background-color: #807665!important; color: white!important; } } /* NOM UTILISATEUR */ #login-status { color: #990000; font-family: 'Special Elite Centennial', cursive; font-size: 100%; z-index: 30; display: none; } #login-status a { background: transparent; font-family: 'Special Elite Centennial', cursive; font-size: 100%; color: black; border: none; } #login-status ul a { color: black; font-family: 'Special Elite Centennial', cursive; font-size: 100%; background: transparent; background-color: transparent; } #login-status ul a:hover{ color: black; font-family: 'Special Elite Centennial', cursive; font-size: 100%; } #account-topbutton { background: transparent; color: #000; } /* Adjust Mobile Image Size */ @media (max-width: 321px) { div#container-wrap { background: url(http://fondationscp.wdfiles.com/local--files/theme%3Asous-le-monde/body-bg-portable.png) top left repeat-x; } #top-bar { position: absolute; z-index: 50; top: 140px; height: 21px; line-height: 18px; padding: 0px; z-index: 20; font-size: 90%; } #page-title { display: block; font-family: 'RIDIBatang', cursive; font-style: italic; color: #000; font-size: 200%; padding: -30px 0px 0px 0px; position: relative; padding-top: -50px; margin-top: -70px; } #side-bar { background: transparent; padding-top: 0px; } } @media (min-width: 322px) and (max-width: 424px) { div#container-wrap { background: url(http://fondationscp.wdfiles.com/local--files/theme%3Asous-le-monde/body-bg-portable.png) top left repeat-x; } #top-bar { position: absolute; z-index: 50; top: 140px; height: 21px; line-height: 18px; padding: 0px; z-index: 20; font-size: 90%; } #side-bar { background: transparent; padding-top: 0px; } #page-title { display: block; font-family: 'RIDIBatang', cursive; font-style: italic; color: #000; padding-top: -50px; margin-top: -70px; } } @media (min-width: 425px) and (max-width: 767px) { div#container-wrap { background: url(http://fondationscp.wdfiles.com/local--files/theme%3Asous-le-monde/body-bg-portable.png) top left repeat-x; } #top-bar { position: absolute; z-index: 50; top: 140px; height: 21px; line-height: 18px; padding: 0px; margin-bottom: -50px; z-index: 20; font-size: 90%; } #side-bar { background: transparent; padding-top: 0px; } #page-title { display: block; font-family: 'RIDIBatang', cursive; font-style: italic; color: #000; padding-top: -50px; margin-top: -70px; } }
"현실의 세상 아래에 관념의 세상이 있으니, 심오한 사색으로 모든 것 중에서 어떤 것을 보는 데 익숙해진 사람이 볼 때 그 세상은 빛난다."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고들 합니다. 새로운 것은 우리 이전 옛 시대에 이미 있던 것이라고들 하죠. 똑같은 이야기가 단지 말만 바꾸어진 채로 몇 번이고 되풀이됩니다. 완전한 사실은 아닐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잘 아시는 독자라면 SCP 재단이 어디에서 뿌리가 돋아나왔는지 아실 겁니다.
바로 아래세상Sous le Monde입니다.
이를테면 방랑자의 도서관의 기원은 바벨의 도서관입니다! 목매달린 왕의 기원은 노란 옷 왕! 다에바의 기원은 코난 더 바바리안! UIU의 기원은 X파일! 쥘 베른의 유령이 네모 선장과 노틸러스호 위에 떠다니고 벨페고르의 그림자가 진인류 위에 드리웁니다! 재단의 투명인간이나 불멸자, 안드로이드는 또 어떻던가요? 모두 물려받은 유산입니다.
열매는 나무에서 먼 자리에 떨어지지 않습니다.
재단은 다른 작품의 유산이고, 그 작품들은 또 이전의 작품의 유산입니다. 아래세상에 뛰어드는 것은 원초의 바다로, 모든 픽션이 공존하고 모든 캐릭터가 서로 부대끼는 곳으로 가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발걸음을 떼세요.
풍덩 뛰어드세요.
어떤 곳인지 여러분이 직접 말씀해주세요.

아래세상(Sous le Monde)는 앨런 무어Alan Moore의 만화 젠틀맨 리그와 비슷한 카논입니다. 젠틀맨 리그 세계관에서는 모든 픽션들이 한 세계에 실재하며 공존합니다. 트로이 전쟁부터 제임스 본드의 첩보 활극까지… 다만 좀더 현실적이며 어둡게 변주되어 있죠.
두 가지 차이점은 있습니다.
첫째, 픽션들은 모여서 원래의 재단과 비슷한 생태계를 형성합니다. 여러 단체가 대립하고 어떤 변칙개체는 포획당하죠. 그리고 이 세계관은 또한 재단의 카논입니다.
둘째, 젠틀맨 리그가 영국 문화에 집중한다면 아래세상 카논은 대부분 프랑스 문화에 집중하며 주로 프랑스의 사건을 다룹니다. 물론 당연히 프랑스만이 전부는 아닙니다. 각 나라에서는 각자만의 사건이 펼쳐지죠. 프랑스에 가르강튀아와 아르센 뤼팽이 존재한다면 에스파냐에서는 돈키호테가 존재할 겁니다. 또 일본에서는 고질라가 뛰어다닐 테고, 독일에는 마부제 박사가 있을 테고…
이야기:
- 두 강둑 사이의 고통 par Ölbaum
- 슈퍼우먼의 숨가쁜 모험 par Agent Sculder :
- 별에서 온 아이 par Agent Sculder
- 옛날 옛적에... 우주 par jtdn
- 잉크로 죽은 자들 par Alwaid
- 미텔하임 왕가의 피 par Felter Finalis
- 유령론 par Dr Gémini
- 유산 701호 - 추적과 출현 par Dr Gémini
- 바야르 기지 기록서류 par AgentSculder
암흑기록원
Les Archives Noires
아래세상 카논에서 암흑기록원은 프랑스 내에서 우리가 아는 SCP 재단의 위치에 해당합니다. 물론 차이점은 있습니다. 암흑기록원은 국가기관으로서 장관과 공화국 대통령에게 통솔받으며, 문화적 개체를 과학적으로 실험하기보다는 수집하는 데 집중합니다. 다양한 기지를 여러 곳에 보유하며, 그 중에는 예술 작품을 보관하는 루브르 비밀동이나 변칙성을 띠거나 변칙성과 관련된 자료를 소장하는 프랑스 국립도서관 금서과 등이 있습니다. 암흑기록원에서 보관하는 변칙개체는 "유산legs"이라 불립니다. 유산은 우리가 아는 SCP 개체에 대응하지만 한편 프랑스 소설 속 비슷한 대상과 협쳐져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유산을 꼽으면 이렇습니다.
—•—
또 다른 주역
카논이 작성되면서 업데이트될 수 있습니다!
재단: 여러 이름을 지닙니다. 상점, 구상, 연구소, 인스티튜트… 미국에서 왔으며 목적도 능력의 한계도 불명입니다. 지금까지 나쁜 조직으로 보이지는 않았지만, 주변 상대와 페어플레이를 추구합니다. 그리고 지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연합: 이름이 없습니다. 재단보다 비밀스러우면서 한편 모든 곳에 존재하는, 정부 머리 위에 있는 뉴 월드 오더. 세계구급 음모단이자 오컬트 음모단. 템플 기사단? 일루미나티? 렙틸리언? 그럴 수도 있겠죠. 확실한 점은 인류의 행복을 바라고 움직이진 않는다는 것입니다.
FBI 특이사건반: FBI 특이사건반은 자금난에 시달리지도 않고 진실에서 먼 곳만 헤매고 다니지도 않습니다.
아래세상 카논의 핵심은 무엇보다도 마인드셋, 창작의 방향에 있습니다. 이 때문에 엄격한 규칙은 별로 없습니다. 대신 다른 탭에 조언들이 많아요.
I - 빠심에 집착하지 마세요.
아래세상 카논과 크로스오버 프로젝트의 관계는 SCP 재단과 크리피파스타의 관계와 같습니다. 벌써 오래 전에 저희는 그 단계를 지났죠.
크로스오버에서는 SCP 재단 세계관이 다른 픽션 한 가지의 세계관과 만나고, 대개 작가는 그 한 가지 세계관의 고유 특질을 강조하는 데 주력합니다. 반면 아래세상 카논에서는 모든 픽션이 동시에 공존하며 조화를 이룹니다. 이 점은 두 가지를 함의하죠.
- 첫째, 투고작은 단 한 세계에 고착시킬 수 없습니다. 훨씬 광대한 세계에 녹아들어야 하니까요. 아주 여의치 않은 상황이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투고작에는 여러 작품에서 여러 레퍼런스를 도입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둘째, 모든 것이 공존하는 이 세계관은 독자에게는 눈이 부시겠지만 캐릭터에게는 일상입니다. 이런 탓에 수많은 요소들이 흔한 광경과 "난 더한 것도 봤는데 뭘"의 영역으로 들어갑니다. 쥘 베른의 시대에 우주 탐험을 시작했던 세계에서 초강력 레이저총을 놓고 3페이지짜리 동인지를 쓰지 마세요.
- 굳이 셋째를 꼽자면, 안전지대에 안주하지 마세요.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만화나 시리즈 최신 작품만 악착같이 다루지 말고, 책장에 꽂힌 오래된 서적과 위키백과 한구석의 문서를 기꺼이 뒤지며 있는 줄조차 몰랐던 작품을 발굴하세요.
II - 타인의 작품을 존중하세요.
물론 다른 카논에서도, 재단 어떤 곳에서도 적용되는 원칙입니다. 아래세상 카논은 공동작업의 결과물이자 항상 발전되는 현장인 만큼 한 팀의 자세로 다른 사람이 이미 쓴 작품을 존중해야 합니다. 더불어 정말 페어플레이 정신을 지키려면 '쓸 작품'도 마찬가지고요.
당연하지만 문자 그대로 이 세상의 모든 픽션이 동시에 공존하는 세계라면 한 달마다 혁명이 일어나고 5년마다 지구가 멸망하겠죠. 결국 이 카논은 각 픽션의 요소를 얼마나 표출할지 타협하는 데 달렸습니다. 헷갈린다면 캐릭터와 평범한 일상의 요소에 집중한다고 생각해보세요. 10년 후에 미국을 멸망시킬 좀비 바이러스 창궐 사태가 아니라 중소규모 사건부터 먼저 떠올려보세요. 자기 생각을 다른 회원들에게 보여줘서 설정을 논의해 보거나 적어도 모두들 알게 해 봅시다.
한편 픽션들을 공존시킬 더 나은 방법이 생각났다면 세계관의 어떤 요소를 재작성하는 것, 사건을 변경하고 캐릭터 이름을 고치는 것도 충분히 생각해볼 법합니다.
III - 판타지스러운 대체현실과 판타지는 다릅니다.
아래세상 카논 세계관에서 응집성을 구축하려면 한 가지 공통분모가 필요합니다. 작품 속 세계는 현실 세계이며, 재단 세계관의 구조 역시 현실에 근거하죠. 즉 구조부터 완전히 다른 세계를 편입시킬 수는 없다는 뜻입니다. 반지의 제왕, 랑푀스트, 왕좌의 게임 같은 작품은 유명하지만 그래서 불가능합니다. 마찬가지로 스타워즈 같은, 옛날 옛날 일이라든가 머나먼 은하계에서 펼쳐지는 작품도 안됩니다. 하지만 안심하세요. 조금만 고민하면 대책은 항상 있으니까요! 반지의 제왕 자체는 불가능하겠지만, 그 모티프인 니벨룽의 반지라든가 라인 강가에서 벌어지는 일을 다루는 작품이라면 가능합니다. 다른 세계관도 안될 건 없습니다. 예를 들어 코난 더 바바리안은 설정상 현대의 2만 년 후 시점이고, 포켓몬은 일본 내로만 축소해서 피폭 후유증 돌연변이로 처리할 수 있겠죠…
IV - 3대 고난도 소재
같은 맥락으로 다른 장르보다 수월하게 섞여들기 훨씬 어려운 픽션 장르가 있습니다. 어디든지 끼워넣기 쉽고 자기성이 워낙에 강해 다른 세계관을 빠르게 "먹어치우는" 종류죠. 이런 소재는 사용을 금지한다기보다는 불권장한다는 데 가깝습니다. 다른 픽션들과 충분히 어울리려면 위키 회원들과 적당히 논의를 거쳐야겠죠.
- 1) 슈퍼히어로. 한마디로 지랄입니다. 앨런 무어도 젠틀맨리그에서 슈퍼히어로를 일찌감치 배제했죠. 슈퍼히어로를 어딘가 집어넣으려면 언젠가는 세상이 그 히어로 중심으로 돌아가야 할 수밖에 없습니다. 코믹스 세계관은 별의별 시공간에서 분기를 거쳐서 히어로보고 장소·시대·평행세계·사건 가리지 않고 활약시킵니다. 결국에는 그 히어로가 존재할 수 있는 모든 위협과 이익관계를 해소해준 덕분에 더 이상 일어날 사건이 없어지죠. 마블 캐릭터, 그리고 정도는 좀 덜하지만 DC 캐릭터는 사용하지 마세요. 언젠가는 60년대 같은 아주 좁은 시간대를 잡아서 히어로들이 미국에서 맹위를 떨치다가 활동을 금지당하는 설정을 넣을 수도 있습니다만, 그 전에는 기대하지 마세요.
- 2) 아포칼립스. 우선 아포칼립스물에 가장 큰 문제가 있다면 개수가 많다는 것입니다. 아주 많아요. 진짜 많습니다. 게다가 사건 일자도 각기 다르고, 멸망하는 방법도 각자 다르고, 어떤 작품에서는 인류가 완전히 소멸하는데 어디서는 또 생존자가 남아 있죠. 즉 딱 한 세계만을 다루는 이상은 딱 한 가지 멸망밖에 여유가 없습니다. 그러니 최대한 많은 시나리오가 공존하고 모두 동시에 발생시키려면 아주 세심하게 배치해야겠죠. 일자 때문에 한 마디만 더하자면, 2012년으로 설정하면 복잡한 일이 많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 3) 대체역사. 오해하지는 마세요. 아래세상 카논은 어떤 종류의 평행우주든지 허용합니다… 각자가 모두 제자리에 머무르면서 카논의 시간선에 불간섭하는 한에서는요. 하지만 이를테면 독일 제3제국이 2차대전에서 승리한 수많은 픽션을 독자의 세상과 닮은 세계나 아데노이트 힌켈이 1945년 자살은 세계에 끼워넣을 수는 없겠죠. 아, 그리고 괜히 가운데땅 세계관이 얼마든지 탐험 가능한 세계라는 말은 꺼내지 마세요. 그런다고 남들이 속아주지 않습니다.
한마디로 줄이자면, 서로를 이해하세요. 한 가지 픽션의 세계관이 넓어지고 깊어질수록 다른 픽션을 추가할 때 먼저 온 픽션과 설정오류나 불일치 문제에 걸리지 않고 넘어가기 어려워집니다. 반면 독특한 단편과 윤곽을 제대로 잡은 세계라면 더 쉽고 쾌적하게 기존 픽션들과 어울릴 수 있겠죠!
아래세상 카논도 다른 카논들과 마찬가지로, 특정한 스토리아크를 따라가는 게 아니라 어떤 세계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규칙과 다른 투고작을 존중한다면 어떤 이야기든지 풀어나가도 상관없습니다. 그런데 세계를 구축하는 그 일은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여러분의 길잡이가 되어주고 새로 쌓아올릴 작품의 초석을 구할 만한 아이디어가 되어줄 몇 가지 팁을 아래에 소개합니다.
소스 찾기
기존에 아는 것만으로 완전히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내기는 지독하게 어렵습니다.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매일같이 숱한 영화와 드라마와 책을 보지만, 거기서 필요한 요소만 뽑아내서 자신이 바라는 이야기를 풀어내기는 쉽지 않죠… 다행히도 천군만마가 되어줄 두 가지 도구가 있습니다. 바로 인터넷과 집단지성입니다. 우리 위키는 활동이 왕성하고 각자의 교양이 풍부한 만큼, 뭉쳐서 집단지성으로 여러분을 도와주고 레퍼런스나 다른 팁이 필요하면 찾아줄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카논 디스코드 서버로 찾아오세요! 그 밖에도 아래 접은 내용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 소재를 잘 알면 좋지만… 꼭 다 통달할 필요는 없습니다: 1980년대 이후로는 모든 사람을 관통하는 문화를 찾기가 더 어렵습니다. 위키백과를 친구 삼고 다른 작가와 상의하면서 내가 모르는 문화를 자기 것으로 흡수하세요. 이 카논은 사이트의 집단지성을 이용해볼 더할 나위 없는 기회입니다. 물론 투고작을 집필할 때는 캐릭터의 성격이나 장소의 내력을 어렴풋이라도 파악해야 벽을 직격해서 부딪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오래된 자료는 온라인에서 공짜로 열람할 수 있다는 게 최고의 장점이니, 몇 페이지라도 훑어보면서 소재를 어떻게 이용할지 감을 잡아보세요.
- 이야기의 무대가 되는 나라와 시대의 소재를 우선하세요: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라라"라고들 하죠. 아래세상 카논은 프랑스 문화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시작했지만 다른 나라 문화라고 이득 보지 말아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인 캐릭터가 필요하다면 프랑스 작가나 미국 작가가 아니라 이탈리아 작가가 만들어낸 캐릭터가 있는지 우선 찾아보세요. 또 작중 시점이 1900년대라면 아델 블랑섹이나 아르시메드 케밥 같은 캐릭터만 굴릴 수도 있겠지만 그 시대에 어떤 이야기가 유통되었는지도 탐구해 보세요. 온라인에서 공짜로 찾아내기도 쉽고, 캐릭터가 얼마나 많은지 알면 깜짝 놀랄지도 모릅니다.
- 확신이 안 서면 오리지널을 우선하세요: 유명한 작품은 각색에 각색을 거듭하고 리부트되고 돈 때문에 내용이 휘둘리고 하기 마련입니다. 현존하는 셜록 홈즈 창작물을 모조리 공존시키려면 설정을 짜는 데 시간이 남아나질 않겠죠. 예를 들어 영화를 소재로 사용하려는데 원작 소설이 따로 있다면, 그 책의 위키백과 문서를 한번이라도 살펴보면 놀랄 겁니다. (저희가 《혹성탈출》 시리즈에서 피에르 불의 원작소설을 채택하는 이유가 바로 이겁니다. 원작이 저희랑 제일 잘 어울리니까요)
- …또는 고전도 있습니다: 간혹 원작이 완전히 잊혀지고 (또는 영향력을 상실하고) 이후에 나온 각색 작품이 사람들의 뇌리에 더 깊이 박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OSS 117》은 미국 원작이지만 장 뒤자르댕 나오는 프랑스 영화가 훨씬 더 유명하죠. 그 밖에도 수많은 판본을 섞어서 각 판본에서 유명한 부분만 따올 수도 있습니다.
—•—
접붙이기
우리 세계를 닮은 재단 세계를, 아래세상 카논이 다시 닮으면 이상할까요? 카논 속 세계가 다루는 픽션 분야가 드넓고 깊은 곳까지 뻗쳤다고 해도 이들 픽션은 엄연히 우리 현실을 공통분모로 삼습니다. 역사는 우리 세계와 큰 틀에서 닮되 역사의 수많은 구성요소는 픽션 속 요소로 대체할 수 있겠죠. 이를테면 아돌프 히틀러의 자리에는 아데노이트 힌켈이, 말보로 담배의 자리에는 모를레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픽션 대체재는 원래 요소의 패러디일 수도 있고(《구토》를 쓴 장폴 사르트르 대신 《토사물》을 쓴 장솔 파르트르 등) 그 요소에서 직접 유래하지 않았더라도 모습이나 역할이 유사한 존재일 수도 있습니다(프란치스코 교황 대신 비오 13세, 샤를 드골 대신 피에르 드지브뢰즈 등).
- 대응하는 요소를 찾기 힘을 때: 유명한 사람이라고 모두 패러디되는 것은 아니고, 더구나 독립된 캐릭터를 탄생시키는 것은 더욱 아닙니다. 어떤 인물에 딱 들어맞는 캐릭터가 없다면 좀더 좁고 깊게 파고들어가 보세요. 트럼프 전 대통령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우선 트럼프를 패러디하는 캐릭터가 전혀 없다고 치죠. 그러면 가상의 미국 대통령을 모아놓고 그 중에 캐릭터가 어울리는 사람을 고를 수 있습니다. 만약에 어울리는 대통령 캐릭터가 없다면? 90년대에 활동한 사치를 즐기는 백만장자를 골라서 나중에 대통령에 되었다고 쓸 수 있죠. 백만장자도 아니다? 리얼리티 쇼 MC가 있습니다. MC도 아니다? 레슬링 선수도… 이제 아시겠지만 한 인물에게는 여러 가지 양상이 있기 마련입니다. 한 가지 양상만 캐릭터에 결부지어도 충분합니다. 나머지는 그러고서 여러분이 현실의 인물처럼 어떻게 꾸며주냐에 달렸죠.
- 시간은 상대적이다: 1956년 활약한 캐릭터를 찾아서 1956년 일어나는 이야기에 투입한다면 그야 안성맞춤이겠죠. 하지만 작품 내용이 다른 시대와 어울린다고 하면 시점을 조작하지 말라는 법은 없습니다. 예를 들어 2060년에 재임해야 할 장 뤼생데르를 프랑수아 미테랑 자리에 넣어도 상관없습니다. 《타나토노트》는 1994년 작품이고, 인물이 뭔가 비밀이 파다하며, 작중의 미래 프랑스는 90년대의 프랑스와 별반 다르지 않으니까요. 빅 브라더도 이렇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1984》는 1949년 출판되었고, 원래 붙으려던 제목은 1948이었다고 하죠? 그러므로 전형적 파시즘의 시대 40년대에 빅 브라더를 배치하고 1948년까지 활동시킬 수 있겠죠. 굳이 1984년에 배치하는 쪽이 오히려 글 쓰기 어려울 겁니다.
—•—
변주하기
존재·상상 가능한 모든 픽션을 똑같은 세계관에 공존시키는 방법은 어디 있을까요? 해답은 간단합니다. 그런 방법은 없어요. 현실적인 목표라면 최대한 많은 픽션을 독자가 의문을 품지 않도록 공존시키는 정도일 겁니다. 그 말인즉, 픽션을 비틀고 상상력을 최대로 발휘해야 한다는 뜻이죠. 이런 방법으로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여러분이 선택하는 영화나 소설, 기타 출처 등이 실제로 발생한 대사건의 편집·변형·미화된 버전이라고 해보는 겁니다. 어떤 영화 속 세계 멸망은 사실 굉장히 과장되었고 실제로는 그냥 한 도시 멸망은 아닐까요? 매혹적이고 다재다능한 스파이는 사실 처음부터 끝까지 썩어빠진 기회주의자는 아니었을까요? 두 가지 사가에 등장하는 두 캐릭터는 사실 정체성만 갈아끼운 똑같은 인물은 아니려나요?
- 관점 바꾸기: 장대하고 낭만적인 이야기는 사실 구질구질한 사건을 꾸며대는 거짓말일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습니다. 길더로이 록하트처럼 영웅의 정체가 사기꾼일 수도 있고, 조연급 인물의 정체가 숨겨진 영웅일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어떤 캐릭터는 진짜 성격이 우리가 상상했던 모습과 판이하게 다를 수도 있습니다… 물론 원전을 뒤집는 건 여러분 몫이죠!
- 순간은 이전과 이후의 중간값: 캐릭터의 삶을 이야기 속 기간밖에 모를지라도 그 이전의 과거와 이후의 미래를 주저 없이 창작해보세요. 이 거대한 사각지대에는 가능성이 무궁무진합니다.
- 족보 디자인: 바로 위 팁과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시대의 캐릭터들을 외모가 닮았건 말건 혈연관계로 연관짓는 것도 가능합니다. 또는 서로 다른 픽션의 캐릭터를 짝지어줄 수도 있고요.
- 전략적 침묵: 너무 커다란 장애물에 부딪혀서 요소들을 도저히 양립시킬 수 없나요? 두 왕이 똑같은 시대를 다스려야 하는데 어느 쪽으로 결정해야 하는지 도저히 모르겠나요? 즉, 내가 선택한 픽션과 다른 픽션이 대놓고 부딪치면 어떡해야 할까요? 간단합니다. 한쪽 설정은 침묵하세요. 전략적 침묵이란 어떤 쪽 설정을 대놓고 부정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훗날에 다른 작가가 절묘한 해법을 찾아낼 때까지 기다린다는 거예요. 예컨대 코뿔소들이 비시 프랑스를 헤집고 돌아다닌다고 해 보겠습니다. 진짜로 인간이 지적 코뿔소로 변형되었을까요? 혹시 친나치 의용대 밀리스Milice의 어떤 지부 이름이 코뿔소는 아니었을까요? 물론 언급하되 결론은 내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나머지는 독자에게 맡기세요.
—•—
최근 30년 동안 어떤 문화가 약간의 '신고전급'을 제외하고 일반적 문화의 자리로 올라서기는 굉장히 어려워졌습니다. 당연한 일이겠죠. 이 때문에 예컨대 1920년 발생한 이야기를 작성하고자 한다면 조사할 부분이 이만저만이 아닐 겁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아래세상 카논의 모험 속으로 뛰어들었다면 그 조사마저도 기꺼이 받아들이겠다는 뜻이겠죠!
이야기의 방향에 길잡이로 삼도록, 또 아래세상 카논 세계관에서 무슨 일이 있었나 짤막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몇 가지 실마리를 아래에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1870~1900: 쥘 베른과 놀라운 여행
고전 중의 고전이죠? 19세기 말 프랑스는 두말할 나위 없이 베른의 시대였습니다. 가량맞은 스팀펑크와 낙관적 제국주의 사이의 어딘가에 자리잡은 세계였죠. 산업혁명과 과학혁명이 발흥하면서 세상은 우리가 알던 세상의 기존 한계 너머에 숨겨진 비밀을 열렬히 찾아 나섰습니다. 극점과 해저, 우주 공간과 사후 세계로 탐험이 줄을 이었죠. 탐험가와 학자와 심령술사가 쏟아져 나와 호기심과 영혼을 자신의 탐구 주제로 집중시켰습니다. 쥘 베른이 막대한 성공을 이루고 그 뒤를 이은 사람으로 아들 앙리 베른도 있지만, 폴 디부아나 앙드레 로리 같은 모방자들 또한 수많이 등장했습니다.
한편 이 시대는 모험 이야기와 "과학적" 소설 말고도 환상문학 고딕소설의 절정기였습니다. 테오필 고티에, 기 드 모파상, 그 외에도 숱한 작가들이 무수한 단편을 남겼죠.
1900~1930: 모리스 르나르와 공상과학 소설
20세기가 시작되면서 대중문학이 급성장했습니다. 수많은 펄프 연재소설이 쏟아져나오는 가운데, 아르센 뤼팽과 팡토마스 같은 괴도의 악행과 쥐덱스나 룰르타비유 같은 영웅의 수사일지에 온 프랑스가 열광했죠. 대중들의 지지를 등에 업고 수많은 작가들이 상상을 나날이 풀어나갔습니다. 벨 에포크 시대 최고의 환상문학 작가들이 월간지 《주세투Je Sais Tout》를 거쳐갔습니다. 이 작품들을 조금만 살펴보더라도 괜찮은 소재를 쉽게 낚아올릴 수 있겠죠.
한편 이 시대는 동시에 환상영화의 태동기였습니다. 멜리에스 영화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오기 괜찮겠죠.
더불어 환상문학의 후계자로서 새로운 장르, 신비과학 소설이 등장했습니다. 신비과학 소설의 원칙은 우리에게 낯설지 않습니다. 초상적 사건을 과학적 시간으로 바라보면서 탐구하고, 그 주인공이 단순하게 오로지 과학자일 필요도 없습니다. 마치 재단과 닮았죠. 미친 과학자와 기묘한 기계가 난무하고, 수많은 광선과 가스와 이식장치가 새로운 세상을 만들어냅니다… 좋은 쪽인지는 모르지만요. 모리스 르나르, 알베르 로비다, J. H. 로스니 등 유명한 작가들이 많지만 이름이 묻혀버린 작가들 또한 무수합니다. 이 사이트에서 프랑스 신비과학 소설을 취급하고, 또 여기서 줄거리를 찾아볼 수도 있습니다.
1930~1950: 마르셀 에메와 일상의 이상
일반적으로 비시 프랑스 전후의 소설은 꽤나 자유분방했습니다. 히어로가 티베트 마법사나 화성에서 온 공주와 어깨를 맞대거나 하는 펄프 매거진의 전성기였죠. 그리고… 마침내 대서양 너머에서 손님이 찾아왔습니다. 2차 대전의 터널에서 빠져나올 즈음 프랑스는 미국의 공상과학 소설을 처음 만났고, 신비과학 소설은 매우 빠르게 잊혀져 갔습니다. 한편 소설 연재란을 마련하던 신문들도 대개 전쟁 중에 점차 친독 성향으로 선회하고 해방운동을 중상하게 되었죠. 하지만 이런 시대에도 악명 높은 친비시 주간지 《주쉬파르투Je suis partout》는 《주세투》를 계승하듯이 프랑스 상상공동체 최고의 작품, 마르셀 에메나 르네 바르자벨의 소설을 연재하기도 했습니다.
불안한 시대였던 30 ~ 40년대, 베른의 세계 탐험이나 르나르의 과학적 진보는 어느덧 저물고 사람들은 각자의 일상과 그 일상을 항상 뒤흔드는 이상을 들여다보기 시작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마르셀 에메가 가장 유명하고, 벨기에의 장 레이 또한 빼놓을 수 없죠. 한편 2차 대전 이후에는 1차 대전 직후처럼 초현실이 일상 곳곳으로 침투해 들어왔습니다. 콜레주 드 파타피지크나 울리포 같은 데를 훑어보면 보리스 비앙처럼 혁명적인 작가를 발굴할 수 있을 거예요.
1950~1980: 르네 바르자벨과 새로운 유토피아
꽤 최근 들어서는 환상문학이 프랑스의 상상계에서 짐 싸들고 떠나며 존재감이 점점 더 옅어지는 형국입니다. 미국 공상과학 소설과 영국식 판타지의 영향을 받아 프랑스는 현실의 차디단 규칙에서 벗어난 이세계를 더욱 자주 꿈꾸게 되었습니다. 대신에 현실을 바탕으로 한 소설은 경찰과 코미디에게 맡겨졌죠. 여러 작가들이 우리가 아는 세계와 이세계의 가운데 위치에 머무르고는 했습니다. 이를테면 르네 바르자벨과 피에르 불이 있었죠. 하지만 수많은 작가들이 오늘날에는 이름이 거의 잊혀져 있습니다. 플뢰브 누아르 출판사의 앙구이스라든가 앙티시파시옹 시리즈, 제뤼 출판사의 테네브르 시리즈를 예로 들 수 있겠네요.
한편 새로운 분야가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특히 만화가 있었죠. 펑크의 시대 끝자락에 전설의 잡지 메탈 위를랑이 등장해 오늘날 환상문학 문화의 최고봉 작품들을 소개했습니다. 매드맥스, 에이리언, 트론 등이 모두 위마노이드 어소시 출판사에서 발굴한 재능을 정신적으로 계승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때쯤에는 창작물이 SF나 순수 판타지에 몰두하느라 현실에서 점점 더 멀어지기도 했습니다만, 그래도 흥미로운 소재가 나올지도 모르죠.
또 영화나 TV 시리즈에서는 환상문학이나 호러, SF 등이 70년대에 정점을 찍었다가 시들해졌습니다. 나중에 00 ~ 10년대가 되어야 다시 모습을 드러내죠. 하지만 더 리턴드, 로우 같은 작품도 튀어나오니 한번 직접 살펴보세요!
모든 장르 목록
위키백과에는 픽션 속 수많은 개체와 캐릭터를 종류별로 모아두는 목록이 널려 있습니다. 물론 이런 목록이 세상 모든 대상을 등재하지는 못하겠지만, 총체적 난국에서 벗어나고 아래세상 카논 세계관을 수많은 오마주로 채우기에는 언제라도 부족하지 않을 거예요. 아래는 몇 가지 목록입니다.
Q: 아래세상 카논은 젠틀맨 리그나 브리가드 쉬메리크와 똑같은 세계관인가요?
A: 아니요. 두 작품 모두 이미 세계관이 두텁고 또 등장하는 작품들의 재해석도 탁월합니다. 이 카논의 목표는 우리만의 재해석을 구축해서 거기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펼치는 것이고요. 다만 눈길을 슬쩍 주는 정도를 막지는 않습니다. 상황만 된다면 저 먼 곳에 존재한다고 암시할 수도 있겠고요.
Q: 어떤 캐릭터/사건/물체를 누가 사용했는데 저도 제 이야기에 등장시키고 싶어요. 어떡해야 할까요?
A: 아래세상 카논의 대원칙은 먼저 써먹는 사람이 임자라는 것이지만, 서로 합의를 거친다면 출구전략은 분명히 있습니다. 특히 두 이야기에서 등장하는 캐릭터/사건/물체가 사실 서로 다르다고 합의하면 좋겠죠. 소재를 먼저 가져간 작가에게 연락해서 의견을 묻고 다른 회원들과 의견을 나누어 보세요. 합의할 방법은 언제나 존재합니다.
Q: "이야기"는 아닌데 노래/유머/광고에서 등장하는 캐릭터도 작품 속에 넣을 수 있나요?
A: 네, 아래세상 카논은 상상공동체 속 모든 작품을 형식을 막론하고 포괄합니다. 오히려 중요한 것은 "공동체"예요. 아무도 더 이상 안 찾아보는 팬픽션이나 6학년 때 쓴 작품을 슬쩍 꺼내려거든 단념하는 쪽이 낫습니다.
Q: 포르노도요?
A: 포르노도요.
Q: 어떤 이야기의 캐릭터가 원작 시리즈의 어떤 작품하고 불일치하는 걸 발견했어요. 저는 모든 작품을 다 읽었거든요. 어디다 말씀드려야 할까요?
A: 아래세상 카논에서 작가는 합리적인 이유만 충분하면 원하는 만큼 자유롭게 원전을 재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캐릭터를 데려온다는 것이 작가가 그 원전 시리즈를 모두 읽었다는 뜻은 아니다 보니, 원전에 충실하고자 의도했으면서도 결과물이 엇나가 버릴 여지도 분명히 존재하겠죠. 작가에게 PM하셔도 좋고, 아니면 DrGemini에게 연락해주세요.
Q: 혹시 말인데, 재단에는 메타라는 소재도 있는데 아래세상 카논의 캐릭터가 SCP 재단 세계로 가거나 그 반대로 오거나 하는 이야기를 써도 되나요?
A: 아! 좋은 질문이네요. 느끼시겠지만 이 카논의 세계는 기존 재단 세계관과 크게 다르지도 않습니다. 혹시 책 《아래세상》에 비밀의 연결고리가 있을지도… 결정된 건 아직 없지만, 이쪽으로 대발견을 계획하신다면 먼저 논의를 거쳐보세요! 한편 원래 재단 세계관에서 픽션 속 개체였던 캐릭터를 이 카논에 삽입하는 방법도 있을 겁니다. 이를테면 머피 로가 있겠죠.
Q: 레퍼런스하는 작가 쪽에서 변호사를 보내면 어떡하죠?
A: 더 질문 없죠? 좋아요, 그럼 이상으로 FAQ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